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신통한봉고268
신통한봉고26824.04.03

무산소와 유산소의 구분에 대해서

나이
32
성별
남성

흔히 저항운동은 유산소가 아닌 무산소라고 하잖아요. 근데 저 같은 경우에는 근력운동을 할때 2-3시간 정도를 ( 특히 스쿼트같은 하체 운동시에는 더더욱) 땀이 비오듯이 뚝뚝 떨어지고 심박수도 엄청 올라가고 탈진할것 같이 하는데요, 그러면 유산소로서의 효과가 어느정도 유의미하게 있다고 봐도 되는걸까요 아니면 저항운동은 그냥 유산소가 아니라고 딱 잘라서 봐야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저항 운동과 유산소 운동은 각각의 목적과 효과가 다르지만, 두 운동 모두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항 운동은 주로 근육의 힘과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며, 주로 무산소 에너지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반면, 유산소 운동은 심폐 기능을 강화하고 지방을 연소하는 데 효과적이며, 산소를 사용하는 에너지 시스템에 의존합니다.

    근력 운동 중에 심박수가 상승하고 많은 양의 땀을 흘리는 현상은, 근육에 부하가 걸리면서 발생하는 신체 반응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심혈관계에도 영향을 주어 심박수가 증가하고, 열 발생량이 늘어나 땀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와 증가하는 심박수는 유산소 운동이 갖는 일부 특성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력 운동이 심박수를 올리고 상당한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점에서 유산소적 효과를 어느 정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회복 시간을 짧게 하고, 여러 근육 그룹을 연속적으로 운동하는 서킷 트레이닝 방식으로 근력 운동을 할 경우, 심혈관계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산소 운동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산소 운동이 가지는 심폐 기능 강화, 지구력 증진, 지방 연소 등의 특화된 효과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스포츠 의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제가 아는 선까지만 말씀드리면, 유산소 운동의 효과는 특정한 심박수 영역이 20-30분 이상 유지될 때 나타납니다. 근력운동은 심박수가 높아졌다 낮아지는 과정이 반복되므로 유산소운동의 효과가 아예 없다고 보긴 어렵지만 효율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근력 운동 자체는 무산소 운동으로 분류되지만, 근력 운동을 할 때 심박수 상승, 발한 등이 동반된다면 어느 정도 유산소 운동 효과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산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운동으로, 지방 연소에 효과적이에요. 반면 무산소 운동은 순간적인 힘을 발휘하는 근육 운동으로, 근력 및 근육량 증가에 도움 됩니다. 그러나 근력 운동을 할 때 충분한 반복 횟수와 세트 수를 소화하면서 휴식 시간을 최소화하면 유산소 운동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죠.

    특히 하체 근력 운동인 스쿼트는 많은 근육을 동원하고 심박수를 상승시키므로 유산소 운동 효과가 큰 편입니다. 물론 개인차가 있겠지만, 장시간 고강도로 근력 운동을 한다면 분명 유산소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거예요. 따라서 근력 운동을 할 때 유산소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휴식 시간을 최소화하고 운동 강도와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게 좋습니다.

    다만 근력 운동에만 치중하기보다는 유산소 운동과 병행하는 게 심폐 기능 향상과 체지방 감량에 더욱 효과적일 거예요. 걷기, 조깅,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서 근력 운동을 병행한다면 건강과 체형 개선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