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한가한듀공86
한가한듀공86

아파트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게 전세가격과 연관이 있나요?

요즘 서울 및 수도권에 아파트 전세값이 지속적으로 상승을 해서 매매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고 하던데요.

이러한 전세값과 매매가격과의 비례성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그렇습니다

    공급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서울은 아파트 공급이 많이 부족한데 그나마 매매보다는 전월세를 찾아서 가격은 그렇게 안올랐었는데 전세물량이 없으면 소비자들이 매매쪽으로 가면 집값이 오를수있습니다

    같이 오를수 있습니다

  • 비례성이 있다고 보기도 아니라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세값 상승이 지속되며 매매가가 그대로 일 경우 혹은 하락할 경우 이에 대한 갭이 줄어 들기 때문에 갭투자 수요가 늘어나게 되고 수요가 늘어난 다는 것은 그만큼 매매가가 높아 질 수 있어서 전세가 상승은 매매가 상승을 올릴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공급의 부족으로 인해서 낮아진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고, 앞으로 매매가 상승이 될 지 다시 무슨문제로 인해서 유지되거나 하락할 지는 알 수 없습니다. 부동산은 수학 처럼 정답이 있기 보다는 종합적인 결과이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원칙적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즉 주택가격이 오르면 전세가격도 시기의 차이만 있을뿐 오르게 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다만 현재의 상황은 전세사기등으로 인해 아파트에 대한 임대차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전세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주택가격도 함께 오르는 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 시장 전체의 호재나 상승이라기 보다는 서울, 수도권 지역 아파트 중심에 한정된 상황으로 볼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질문처럼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은 동일한 흐름의 비례성이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 통계적으로 보나 전세가와 매매가액은 같은 움직임을 볼 수 있겠습니다.

    어떤 요인에 의하여 집값이 하락하며 전세가를 끌어 내릴때도 있고, 전세 물량이 부족하여 전세가액이 상승되며 매매가액을 끌어 올릴때도 있습니다. 반비례 보다는 비례하며 상승 하락을 보인다 하겠습니다.

  • 지역이나 아파트의 연식등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보통 전세값이 올라가면 매매값도 올라갑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요.

    매매가 대비 전세가를 전세가율이라고 하는데 이 전세가율이 순간적으로 벌어지거나 좁혀 질수는 있지만 대체로 서울권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60% 전후로 맞춰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요즘 서울 및 수도권에 아파트 전세값이 지속적으로 상승을 해서 매매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고 하던데요.

    이러한 전세값과 매매가격과의 비례성이 있는건가요?

    ==> 비례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근접하면 할 수록 전세 입주자들이 매매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집값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 고금리및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규제 등으로 주택을 보유할려고 하는 매수세 보다는

    DSR적용에서 제외되는 전세대출로 즉 전세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수도권은 주택 공급 또한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결국은 전세값 상승과 공급 부족이 매매가를 올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