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때 대장 검사를 몇 살부터 하고, 몇 년에 한번씩 하면 좋은가요?
매년 건강검진을 할 때가 되었는데 대장내시경도 해봐야 한다는데 보통 건강검진때 대장 검사를 몇 살부터 하고, 몇 년에 한번씩 하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고완규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일반적으론 50 대 이상부터 스타트 하라 하지만
걱정되면 40대 이후라도 못할 이유 없습니다
또 주기는 5년에 한번으로 되있지만
환자가 가진 대장 상태에 따라 1년마다 혹은 2년마다로,,줄어들기도 하니
이것은 진료후에 결정되어져야할 사항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대장 검사는 특히 대장암의 위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50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는 대장암의 발병률이 이 연령대부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가족 중에 대장암 병력이 있거나 다른 위험 요인이 있다면, 보다 이른 나이에 검사를 시작할 것을 권할 수 있습니다. 대장내시경은 대장 내의 이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검사 방법으로, 보통 5년에서 10년에 한 번씩 받는 것이 권장되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나 가족력에 따라 간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건강 상태와 가족력을 고려해 검진 주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평소 소화기 증상이 있거나 몸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검진 시기를 앞당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는 50세부터 시작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가족력이 있거나 평소 변비, 설사, 혈변, 복부 통증 등의 소화기 증상이 있다면 40세 전후부터도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대장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 이른 나이, 보통 가족 중 가장 먼저 대장암 진단을 받은 나이보다 10년 이전부터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안전해요
대장내시경을 처음 받았을 때 용종(폴립)이 발견되지 않고 점막 상태가 깨끗하다면 다음 검사는 5년 뒤에 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용종이 발견되거나 제거한 경우, 혹은 위험인자(흡연, 음주, 비만 등)가 있다면 3년 (혹은 그 보다 더 자주. 환자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간격으로 추적검사를 권장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의사의 소견에 따라 주기 조절이 필요해요
따라서 41세 남성이라면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첫 대장내시경을 받아보는 것이 예방 차원에서 좋습니다. 이후에는 검사 결과에 따라 추적 주기를 결정하면 되고, 건강검진 시 분변잠혈검사(대변에 피가 섞여 있는지 확인)로 선별검사를 하면서 필요 시 내시경을 병행하는 것도 추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