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왜 층간소음 때문에 난리 인가요?
우리나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항상 나오는 문제 가 층간소음 문제 잖아요 층간소음 때문에 항상 여러 문제가 생기는데 우리나라는 왜 층간소음이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아파트 거주 인구가 많은데, 바닥 난방 방식이다보니 카페트 등이 깔린 서양과 달리 딱딱한 마루바닥이 노출된 경우가 대부분인데다 공사비 절감을 위해 기둥이 없고 벽체가 골조를 형성하는 벽식 구조로 소음이 잘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웃에서의 소음이 잘 전달되어 분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엇보다도 층간 소음에 대한 규정이 생긴지도 얼마 안된데다(2004년) 건설사의 날림공사에 규정 준수도 제대로 되지 않아서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는 반면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고 있고, 아파트 가격은 엄청나게 올라서 가격대비 만족도가 낮다보니 더욱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층간 소음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아이들이 뛰거나 발 망치 소리가 대부분입니다. 화장실 물소리, 문 여닫는 소리 등과 같은 건물의 구조적 요인구조적 문제는 국내 아파트의 85%를 차지하는 벽식구조 아파트가 실내소음 차단에 취약하다는 데서 생깁니다. 우리나라에서 주택건설 등에 관한 규정에서 바닥두께 또는 바닥충격음 기준이 엄격하고 다소 강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채로 이를 짓다보니 소음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른 2007년부터 10년간 지어진 전국 500가구 이상 아파트의 98.5%가 벽식구조라고 합니다.
즉 기둥없이 벽이 천장을 받치는 형태로 층간소음에 굉장히 취약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에서 윗 세대와 층간소음 문제로 뉴스이 자주 보도되고 있습니다.
흔히 발망치로 불리어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요.
서로 양보해야하는 아파트 특성상 양보를 하지 않으면 분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해와 배려가 없어서 층간소음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바닥을 더 두껍게 깔아야 되는데 그런부분이 미흡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자재를 잘써야 되고 더 잘지어야 되는데 부실이 있어서 그럴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있는집들은 뛰면 심한 울릴이 있는건 당연하지만 두꺼운 매트를 깔아서 어느정도 방지를 하는것을 많이 봤습니다
좀더 바닥 공사에 신경을 써야 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죠. 주거형태의 50%이상이 아파트이다보니 다른나라보다 케이스가 많을 수 있고 바닥 슬라브를 얇게 공사한 원인, 그리고 이웃간의 매너가 없는 이기적인 사람들에 의한 것도 있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