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용돈 언제부터 주고계신가요?
아이들의 용돈은 몇살떄부터 줘야할까요?
카드로 주시는지 현금으로주시는지 어떻게 주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첫 용돈은 얼마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용돈을 언제부터 주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입학한 후부터 용돈을 주는게 일반적입니다.
현금으로 주기보다는 체크카드를 하나 줘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내역이 남기 때문에 용돈기입장 작성을 할 때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용돈은 초등학교 입학 하고 나서 주면 좋을 것 같구요.
이 시기에 경제교육까지 시켜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용돈은 카드 보다는 현금으로 주시고, 한 달 기준으로 용돈을 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초등학교 저학년 이라면 한 달에 2~3만원, 고학년 이라면 5만원 정도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선 돈에 대한 개념과 덧셈, 뺄셈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럴려면 초등학교 1,2학년 정도는 되어야 하구요
카드보다는 현금으로 주는게 좋습니다.
하루에 천원정도 주는게 아이스크림정도 사먹기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는 경제적 사정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나
초등학생 저학년이라면 한달에 1만원정도가 적당할수있으며
이후에는 아이의 활동에 따라서 책정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보통 초등학교를 들어가면서 용돈을 주는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 전에는 부모님께서 다 등원과 하원을 시키기 때문에 별도로 용돈이 필요 없었지만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본인들이 스스로 등교를 하고 하교를 하기 때문에 중간에 친구들과 시간을 보낼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금액에 대해서는 아이들에게 경제 관념을 알려주시기 위해서 너무 큰돈을 주진 않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부모님들이 어릴대 용돈을 충분히 받지 못했을 적을 생각하면서 많이 주는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 용돈은 초등학교2학년때부터 주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본인이 용돈기입장에 기록하면서 합리적인 소비생활에 기본 개념을 확립할수 있기 때문이죠 첫용돈은 만원이 적당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보통보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아이들에게 용돈을 주기 시작하는데요. 단순히 요즘 우리나라 기본 물가들만 살펴보자면 빵 1개나 봉지과자 한봉지의 가격만 놓고 보더라도 1500원 이상으로 훌쩍 넘어가서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날마다 아이들이 뭔가 물건을 사거나 군것질을 하는것은 아닐테지만 단순히 계산만 한다면 하루에 1500원씩 30일 동안 약 5만원 정도가 있어야 아이들이 원하는걸 사고 먹을 수가 있습니다. 초등학교 학생은 한 달에 3만원 정도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용돈을 줄때는 돈의 대한 개념이 있을시기에 주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대부분 초등하교에 입학하게 되면 돈의 대한 개념을 알수 있고 필요한 것이 생길수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입학한후에 용돈을 주셔도 좋을 듯 합니다. 저학년일 경우에는 주단위로 해서 5000원씩 주셔도 괜찮을듯 하며 용돈을 줄때는 범위내에서 계획성 있게 쓰도록 알려주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아이들에게 용돈을 주면서 스스로 관리하고 절제하는 방법을 배우게 함으로써 어릴때부터 경제 관념을 알게 하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아이가 용돈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는 초등학생 때가 적당합니다. 이것은 금전 관리와 지출을 할때를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용돈은 가끔 체크카드에 넣어 주시는 분들도 계신데, 주로 현금으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얼마를 주느냐는 가정의 경제 상황과 아이의 연령에 따라 달라질수 있는데요. 시작 금액은 아이의 생활 소비나 저축을 돕기 위해,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소액으로 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초등학교 4학년아이 일주일에 만원 주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