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3.29

광해군은 '광해군'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먼가요?

역사 보면 보통 세종, 세조, 태종, 태조 등 '조'와 '종'이라고 부르는데

광해군될 때 어떤 시호로 부르면 되는데 굳히 광해군이라 부르는 이유가 먼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태종, 세종, 성종 등은 왕이 승하한 후 종묘에 올려지는 시호입니다.

    하지만, 왕이 무슨 잘못을 저질렀거나 쿠데타로 쫓겨나면 시호가 내려지지 않고 왕자 시절 호만 받은 채로 끝납니다. 이런 예의 대표적 임금은 바로 연산군과 광해군입니다.

    조선 15대 왕 광해군은 중국에 대한 외교 정책이 신하들의 반발을 사, 신하들에게 쫓겨난 후(인조반정) 결국 '광해군'으로만 남았습니다.

    그러기에 '광해군'으로 부른답니다.


  • 군(君)은 임금의 자리에서 폐위되면

    조(祖)와 종(宗)의 묘호를 받지 못하고 군(君)이 됩니다.

    군이 되면 신위는 종묘에 모시지 않습니다.

    그래서 연산군과 광해군의 신위는 종묘에 모시지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폐위되어 왕위에서 쫓겨났고 당연히 이러한 시호를 받지 못한 채 사망하였습니다.

    이후 올려진 왕자의 군호가 바로 연산군과 광해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 이라는 이름을 부르는 이유는 폭군 이거나 국가의 틀에 어긋난 군주 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에

    그 당시 불렀던 조나 종을 붙히지 않고 광해군이라고 불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왕으로 군림했었으나 반정을 통해 축출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에 시호가 붙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시호는 왕의 사후에 정해 집니다. 하지만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쫒겨 납니다.

    그래서 시호가 붙여지지 않았고 광해군으로 불려지는 것입니다. 연산군도 같은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선조의 아들로서 군호(왕의 아들일때 주어지는 이름)이 광해군입니다.

    세종, 정조 등 묘호는 임금이 죽은 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붙은 이름인데, 광해군은 반란에 의해 쫓겨난 왕이므로 후대로부터 왕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군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조선 시대 15대 군주입니다. 그러나 그의 즉위는 일찍이 그의 어머니인 인조대비가 "인조의 삼남"이라고 주장하는 태자들을 모두 죽이고, 광해군을 즉위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군주의 즉위 과정과 행적, 그리고 그의 통치 시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광해군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광해군을 '광해군'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의 즉위 과정과 통치 시기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연관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광해군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이는 그의 즉위 시대의 명칭이며, 그의 통치 시기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