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왜이렇게 아파트만 많이 짓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해외 주요 도시들을 다녀보면,
번화가나 도시 중심가에 가면 아파트들을 찾아볼 수 없는데,
우리나라는 번화가에도 아파트, 외곽에도 아파트, 사방팔방에 아파트를 짓고 있는데,
왜이렇게 아파트만 많이 짓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서 인구밀도가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서울과 수도권에는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다 보니 각종 편의시설이 집중적으로 설치되고 교육시설, 공공기관, 교통시설, 판매시설, 문화시설 등등 생활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 설치되고 그와 관련한 수많은 일자리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생겨난 많은 일자리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수용하기위한 주택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한정된 땅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보니 아파트가 등장하게 되었고 높은 집값에 비해 도시생활에 효율이 떨어지는 단독주택(주차도 어렵고 생활 인프라도 부족)에 비해 아파트의 효율성과 편리함을 경험하게되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파트를 선호하게 되었고 도심 가까이에 살고자 하는 수요가 늘다보니 더 높은 아파트를 건설하여 더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게 된 것입니다.
이제는 그나마 땅이 없어 포화된 중심지를 벗어나 땅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곽 쪽에 아파트를 건설하다 보니 서울과 수도권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워낙 땅면적이 좁은데 대도시로 인구가 몰리다보니 공급을 늘리려면 높게 올라갈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서울은 공급이 정말필요한데 면적이 없다보니 외곽으로 뻗어 나가서 지금의 상황이 됐고 지방은 미분양으로 힘든 상황이 됐습니다
지금은 투자를 하셔도 이런부분을 고려해서 투자를 하셔야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고있어 인구 밀집도가 높습니다. 대도시에서 아파트 만큼 거주 만족도가 높은 주거 시설이 없기 때문에 아파트를 많이 짓고 있습니다.
아파트 수요가 많으니 공급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빌라 및 다세대 주택은 선호도가 낮으니 공급이 적어져 아파트만 많아지고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예전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이 되면서 도시에 인구가 집중을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도시의 경우 택지가 부족하고 주택수요가 많아지게 되자 거주를 다 충족시키기에 부족하여 수직형태의 위로 올려서 거주를 충족시키는 형태의 아파트를 짓게 되고 이러한 기술등이 발전을 하게 되면서 주거형태가 아파트로 계속 바뀌게 되었습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 토지가 넗고 택지가 많을 경우 굳이 아파트를 지을 필요가 없겠지만 우리나라 처럼 택지가 좁고 주택수요가 몰릴 경우 어쩔수 없이 아파트를 통해서 주거수요를 채워야 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