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풋풋한홍학169
풋풋한홍학169

미국 상호관세 정책이 한국 수출입기업의 ESG 경영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과 같은 관세 정책 변화가 우리나라 기업 ESG 경영 전략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강화는 한국 수출기업의 비용 부담(관세는 미국수입자가 부담하지만 어느정도 분담할 가능성이 높음)과 가격 경쟁력 약화를 초래해 ESG 경영의 재원과 투자 여력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ESG에 대한 규제는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기준에 맞춘 지속가능 경영 전략을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자국 중심의 통상 정책을 밀어붙일 때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단순히 돈 문제만이 아니라 esg 쪽에서도 긴장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호관세가 강화되면, 공급망 자체를 재구성해야 할 수도 있고, 그 과정에서 환경이나 노동 기준에 맞지 않는 선택을 하게 될 가능성도 생깁니다. 특히 탄소 배출 많은 생산기지를 우회 경로로 돌리려다 esg 평가에서 발목 잡히는 경우도 실제로 있었고요. 제 판단으로는, 결국 이런 관세 정책 변화는 비용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투명성, 그리고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까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거나 무역장벽을 강화하면 우리 기업 입장에선 수출 비용이 늘어나고 공급망에도 부담이 생기기 때문에 esg 중에서도 특히 공급망 안정성과 윤리적 조달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비용 문제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거래처 관리나 리스크 분산 전략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esg 경영 방향 전반에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상호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 단순히 관세 문제로 끝나는 게 아니라, ESG 중에서도 공급망 투명성과 환경 리스크 대응이 같이 묶여서 이슈가 됩니다. 특히 탄소 배출 많거나 노동 이슈 있는 국가에서 원자재 들여오는 구조는 미국이 제동 걸 가능성이 있어서, 기업들도 자꾸 원산지 정비하고 생산지 바꾸는 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예전엔 그냥 비용만 보고 거래처 고르면 됐는데, 이제는 이 거래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지도 같이 따져야 되는 분위기입니다. ESG라는 게 대외 신뢰와 직결되니까, 무역환경이 까다로워질수록 전략 차원에서 더 신경 쓰게 되는 흐름이 생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