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행동주의력결핍 증후군 ADHD의 약물치료 효과는?
과잉행동주의력결핍 증후군 ADHD의 약물치료 효과가 궁금합니다.
약물치료 시작시기에 따른 치료 효과와 약물을 줄이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몇살부터 약물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언제까지 받아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상태에따라서
약물치료의 시작시기
끝나는 시기
또한 약물을 사용하는가 하지 않는가가 달라집니다
병원에 진료를 보시고 문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약물치료는 주의력향상, 과잉행동 조절효과가 있기 때문에 증상완화 및 기능회복이 됩니다. 또한 ADHD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의 발달변화에 대해 장기추적 연구결과, 충분한 기간 동안 치료받으면 장기적 치료 효과가 있다고 나타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약물치료는 주의력향상, 과잉행동 조절효과가 있기 때문에 증상완화 및 기능회복이 됩니다. 또한 ADHD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의 발달변화에 대해 장기추적 연구결과, 충분한 기간 동안 치료받으면 장기적 치료 효과가 있습니다.
약물치료의 시기 및 기간은 아이의 연령, 증상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전문가인 의사의 의견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증상은 약으로 조절하고, 바람직한 행동은 행동치료 및 미술치료 등으로 만들어 갑니다. 약물치료는 증상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아이들마다 약물치료의 필요서 여부 및 시기가 다 다릅니다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시고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의사입니다.
시작부터 조금 복잡한 이야기를 하자면
<ADHD>자체는 일종의 <병>이 아니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ADHD를 가진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뇌의 발달이 일반인과 조금 다릅니다.
흔히 예를 드는 것은
원시시대 때 사냥이나 전투에 있어서
ADHD성향이 있던 사람들은 빠른결정과 즉각적인 행동으로 인해
오히려 영웅이나 집단의 지휘자였다는 것입니다.
즉, 활동적인 행위보다 사회적 제약과 규칙에 익숙해진 현대사회에서
ADHD의 성향의 사람들이 제자리를 찾기가 어려워졌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ADHD를 <치료>한다고 표현하기보다는
그 성향을 사회적응에 용이하도록 유도하며 훈련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다만, 어린나이에서는 이러한 성향자체로 인해
교육에 어려움이 있으며
사회적인 오해로 인해 우울증까지 동반된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치료(약물치료 + 행동요법)를 권합니다.
흔히 행동요법만 하려고 하시거나, 심지어 약물에 대한 괴담이 인터넷에 돌고 있지만
의외로 약물치료가 아주 효과적임을 꼭 믿어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어린나이에 사회 적응의 시기를 놓치면 나이가 들어서는 더 힘들것이 분명하므로
이 적극적 치료가 필요한 시기를 놓치지 않으셔야 합니다.
다만, 아이마다 성향의 정도가 다르고 약에 대한 반응뙇ㄴ 다르므로
전체 통계에서 어떻다는 것이 아이에게 전혀 도움이 안될 가능성이 큽니다.
제가 이것이 병이 아닌 아이의 타고난 성향과 기질이라고 말씀드린 이유가 그것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만약 자녀분이 ADHD가 의심되거나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다면
해당 주치의 선생님을 믿고 신뢰하며 경과를 지속적으로 보는 것이 가장이 중요합니다.
지금이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ADHD의 치료와 약물은 일반적으로 기본 2년에서 3년을 잡고 복용하게 됩니다. 시기는 아이의 증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ADHD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진료를 봐주신 선생님에게 물어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약물은 좋은 점도 있지만, 부작용도 있습니다. 좋은 점은 ADHD의 행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무기력, 수면장애, 식욕부진 등 많은 부작용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물복용은 꼭 전문의와 자세한 상담 후에 복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해당 질문은 의료란에 더 알맞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해당질문의 경우 육아 전문가가 답하기 어려운 내용인 것 같습니다
재질문 하신다면
현직 의사 선생님들께서 답변 주실 것 같습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