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02

제주도에 말이 유독 많은건 왜일까요?

제주도에는 우리나라에서 보기힘든 말이 유독 많은데요.

말을 키우기에 적합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리고 제주도 이외에 말이 많은 지역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제주마는 흔히 제주도 조랑말이라고 하는데 이 제주마의 유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제주대학교 농과대학부설 축산문제연구소의 「제주마 혈통정립 및 보존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석기시대부터 제주도에서 재래마가 사육되었다고 한다.

    기록상으로는 1073년(문종 27)과 1258년(고종 45) 탐라에서 고려에 말을 예물로 바친 사실이 있다. 1273년(원종 14) 원나라가 탐라를 침공한 뒤 약 100년간은 수십만 두의 몽고말이 이곳에 유입되었다.

    현재의 제주마는 고유의 재래마가 보존되어 온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원나라의 목장 설립시 들어온 몽고마와 그 뒤 품종개량을 위하여 도입된 북방계 우량마에 의하여 잡종화된 중형마로서 우리 기후에 오랫동안 적응된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5세 이상의 제주마 성마(成馬)의 평균 체고는 암컷이 117㎝, 수컷이 115.3㎝로서 교잡마나 개량마보다 뚜렷하게 작고, 혈청유전학적으로도 다른 것들과 차이가 있다. 제주마의 털색은 밤색·적갈색·회색·흑색·담황색·얼룩색 등이 있는데, 밤색 개체가 가장 많고 다음이 적갈색이다.

    또한, 제주마는 앞이 낮고 뒤가 높은 저방형마(低方型馬)이고 중간 체구에 체장이 크며, 흉위율(胸圍率)이나 관위율(管圍率)이 커서 수레를 끄는 데 알맞은 대표적인 체형인 동시에 체폭이 좁고 지장율(肢長率)이 커서 경종(輕種) 체형을 많이 배합한 독특한 체형이다.

    제주마는 농경문화에 크게 기여한 역축(役畜)으로서 한때 사육두수가 2만여 두에 달하였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1985년에는 1,000여 두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그 보존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1986년부터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제주의 제주마 [濟州─濟州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중엽 몽고족이 고려를 침공했습니다

    이 몽고족은 위세가 대단하여 고려 전체를 정벌하고 고려가 항복하자 배를 이용하여 (몽고족은 수군이 없어서 고려 수군을 이용,이것은 최충헌의 후계자 최이 최항 최의가 몽고에 대항할때 강화도 천도 할때도 몽고족의 수군 부재를 이용)제주도에 가서 말을 기르고 이것을 이용하여 일본을 정벌하려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지리적인 면에서는 제주에서는 말이 주요 교통수단, 농업과 어업 등의 생산활동에서 말이 필요했고, 또 고대 제주인들이 말을 신성시 여기며 말을 부의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에 문화적 배경으로 제주에서 말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높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 몽골군이 제주도에 왔을때 바다로 둘러 쌓여 있는 곳이라서 자연적으로 철책 역활을 해주는

    제주도가 방목하기 좋아서 그 때부터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에서 말이 유독 많은 이유는 지리적, 역사적 배경과 연관이 있습니다.

    1. 지리적 요인: 제주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자연적인 방어선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에 외부의 위협이 있을 때도 말들이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제주도의 토질은 화산토로 이루어져 있어 말이 먹을 수 있는 풀이 풍부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입니다.

    2. 역사적 요인: 제주도는 조선시대부터 말을 키우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는 제주도가 왕권의 직접 지배를 받지 않았던 특수한 역사적 배경 때문입니다. 말은 군사적으로 중요한 자원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말을 키우는 것을 국가가 통제하였지만, 제주도는 그런 통제를 받지 않아 말을 자유롭게 키울 수 있었습니다.

    3. 경제적 요인: 제주도는 전통적으로 농사가 어려운 지형인 반면, 말은 이런 환경에서도 잘 키울 수 있어 주요 수입원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말들은 운반수단이나 농사일에 활용되어 생활에 꼭 필요한 동물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다양한 이유로 제주도는 말의 수가 많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말을 키우기에 적합한 곳으로는 가장 대표적인 곳이 제주도입니다. 제주도는 말농장이 많으며, 화산토로 이루어진 독특한 지형으로 인해 말이 먹을 수 있는 풀이 풍부하게 자라는 환경을 제공하며, 바다에 둘러싸여 자연적인 방어 지형을 가지고 있어 말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그 외에도 경기도 평택, 안성 등의 지역도 말을 키우기에 적합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평택과 안성에는 말 관련 시설들이 많이 위치해 있으며, 많은 말 농장들이 이 지역에 분포해 있습니다. 또한 이 지역은 경기도 중앙부에 위치해 있어 대중교통이 잘 발달해 있고, 수도권에서의 접근성이 좋아 말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제주도 외에도 말을 많이 키우는 지역은 전 세계에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앙아시아의 몽골, 북아메리카의 텍사스 주, 남아메리카의 아르헨티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들은 대체로 평원이 넓고 풀이 풍부하게 자라는 환경이며, 말 타기 문화가 깊이 자리잡은 곳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