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세금 용어 중에서 공채 구입 비용이라는 단어의 뜻이 궁금합니다
세금 용어 중에 궁금한 용어가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자동차를 살 때 공채 구입 비용이라는 세금용어가 있던데 이것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세무사입니다.
공채매입비란 자동차를 등록할 때 매입해야 하는 채권으로 일종의 세금 같은 개념으로 공공의 채권으로 보아 해당 매입비를 수취하여 공공기관에서는 도로 정비 등을 하게 됩니다. 공채매입비는 채권이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자는 보통 연 1~2% 정도를 받으며 5~7년 후 일시 상환이 가능합니다.
또한 공채할인이란 자동차 구입 초기 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공채를 매입하자마자 금융사에 일정 할인율을 적용해서 즉시 매도하는 개념입니다. 할인율은 지역과 채권의 종류 및 매입일 등에 따라 다릅니다. 공채할인으로 공채매입비를 지불한다면 구매자가 공채를 매입한 후 그보다 조금 더 저렴하게 파는 것입니다. 대략 차량 구입 금액의 1~4% 정도를 지불한다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부동산이나 자동차 등을 살때 의무적으로 국민채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대부분 채권 구매후 바로 매각하기 때문에 처분손실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