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자녀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거 같은데 이를 어떻게 다루죠?

아이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 것 같은데 이를 어떻게 다룰수 있을까요? 어린 아이라고 생각했는데 너무 성숙할 경우 어떻게 해야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녀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 것처럼 느껴질 때, 부모는 여러 가지 감정과 고민을 겪을 수 있습니다. 성숙함은 아이의 발달에 중요한 요소이지만, 너무 빠르게 성숙하는 것이 때로는 아이의 심리적 부담이나 정서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숙도는 성격이나 환경,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자녀가 다른 또래보다 성숙해 보인다면, 아이가 느끼는 자신감이나 책임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되, 그 성숙함을 과도하게 요구하거나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아이의 성숙이 빠를수록 그만큼 부담이 될 수 있고, 감정적으로 불안정한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성숙한 아이에게는 자기 나이에 맞는 여유와 놀이, 그리고 정서적인 안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스스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부모로서 아이의 속도와 감정에 맞춰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 아이는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너무 빨리 성숙해지는 거 같을 때에는 바로 이렇게 다루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성숙해 지는 것은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아이가 너무 성숙하다 라는 것은 그만큼 빨리 철이 들었다 라는 것을 의미 하기도 하는데요.

    아이가 철이 빨리 드는데는 환경적인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왜 이렇게도 빨리 철이 들게 되었는지 그 근본적인 원인을 찾는 것이 좋겠구요.

    더 중요한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는 것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숙을 존중하면서도 나이에 맞는 활동을 권장하세요. 과도한 성숙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감정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며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너무 빨리 성숙하면 감정적으로 지지하고, 나이에 맞는 활동을 통해 여전히 어린 시절의 순수함을 경험하게 해주세요. 균형 잡힌 성장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성숙하게 행동하는 경우, 부모도 그에 따라 기대치를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지나치게 많은 책임이나 부담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아이가 성숙하게 행동할 때 부모로서도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되는 것이 중욯바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와 열린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ㅣㅇㅆ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왜 그렇게 성숙하게 행동하는지, 어떤 고민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빨리 성숙하면 이해와 지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감정 표현과 적절한 놀이 시간을제공하며 균형잡힌 성장과 정서적 안정성을 돕는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