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늠름한참밀드리146
늠름한참밀드리146

주휴수당이 생긴 배경을 알고 싶어요

우리나라에만 있는 주휴수당이 생기게 된 배경을 알고 싶어요.

주휴수당이 꼭 있어야되는 제도인지도 궁금하고

주휴수당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도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주휴일은 1953.5.10. 법 제정 당시부터 있었으며, 외국의 경우 유급주휴일이 있는 것은 아니나 법령이나 사회통념에 의하여 주 1일 이상을 휴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으로 유급주휴일을 보장함에 따라 발생한 수당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근로자가 주휴일 에 실제로 근로를 하지 않아도 근로를 한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지급해야 하는 급여를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주휴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다른나라와 비교하여 매우 독특한 데 근로자의 주휴일의 휴식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가

      됩니다. 주휴수당을 지급함으로써 휴식의 실질적 보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회사입장에서 보면 인건비 상승의 문제가 있을걸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해야 하는바(근로기준법 제55조제1항), 이는 1주일에 1회 이상의 휴일을 의무화하는 한편 성실근로를 유도/보상하기 위하여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경우에 유급으로 할 것을 정한 것입니다(대법 2004.5.25, 2002두2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