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가가 계속적으로 빠지는 이유가 뭘까요?
주식 투자 이례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요. 가만히 들여다보니 국내 주가가 지지선만 지키는 형국처럼 보이고 살포시 하향으로 가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전반적으로 보면 호재는 있으나 악재하나를 이기지 못하는 이유말이죠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에는 금투세 도입이라는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곧 올해가 마감이 되는데
여전히 도입이 되는건지 안되는 건지 확정되지 않았고 이러한 것들 때문에 국내증시에 자금유입이
추가적으로 들어오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삼성전자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 전체적인 지수가 상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은 꾸준히 팔고 있고 오로지 개인들만 이 매물을 받아내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기가 언제냐가 문제였지 사실 이 정도로 올라온 것만으로도 다행이 아닐까요 위로 올라갈수록 부동산 투자나 주식을 하고 젊은 세대들이 올라오면서 대체가 되는데이 사람들이 주식을 국내 주식을 안 합니다 미국 주식이나 가상 화폐로 전환되는 시기입니다 이곳을 가지고 여러 가지 말들이 많은데 대체적으로는 기업이 세계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것도 있고 추가 유입되지 않는 부분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증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해서 다른 선진국 증시와 비교했을때 후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호재가 있어도 덜 오르고 악재가 있으면 확 떨어지는.. 그런 상황인 것입니다.
더군다나 요즘은 우리나라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의 안좋은 전망 때문에 더 증시 분위기가 안좋은것으로 풀이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주가가 계속적으로 빠지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결국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쟁력이 사라진다는 것이고
동시에 코리아 디스카운트 등의 영향이 아직도 상존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 등 특정 종목에 과도하게 쏠린 국내 증시의 특징, 장기간 고금리 정책, 밸류업(기업 가치 개선)지수에 대한 실망감 등이 국내 증시를 짓누르고 있으며, 금투세 시행에 대한 우려로 국내 증시만 상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원화 약세와 한미 금리 역전 우려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급락장에서 증시 거래대금이 감소한 가운데 반대매매 물량이 증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글로벌 공급망 문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수출에 의존하는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중심주 삼성전자가 약세를 보이며
더불어서 밸류업에 대한 실망,
주주환원문제 등 여러가지가 얽혀서 현재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내년도 실적하향우려와 밸류에이션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미래 추정순이익과 밸류에이션 지표인 PER와 PBR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여기에 수급까지 크게 악화되면서 발생한것입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이번 분기 어닝쇼크가 나오면서 내년도 반도체 이익감소 추청과 국내 대부분 산업의 실적하향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거기다 거버넌스이슈 금투세우려 주주환원율의 낮은 문제의 부각 전기차 캐즘 우려 반도체 우려까지겹치며 기존에 주도를 하던 산업과 거버넌스이슈등이 불가지며 밸류에이션이 지속 악화되고 있는 환경입니다.
이런 환경속에서 기관의 코로나이후 연속 순매도와 연기금의 국내주식 비중 축소 개인투자자들의 23년도부터 이탈가속화가 겹치며 국내시장이 거래량 침체로 얼어붙은게 큰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가의 지속적인 하락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첫째,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고용지표 악화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오히려 경기 둔화에 대한 공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증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가계부채 리스크, IT 업황 우려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의 실적 개선 기대감이 과도하게 반영되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주가 조정 압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도세가 주가 하락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 가능성, 원화 약세 등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국내 주식시장의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으며, 단기간 내 뚜렷한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국내 주가가 하락하는 이유는 여러 복합적인 악재가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외국인 자금 유출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시장이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 지배구조 문제와 주주 친화적이지 않은 정책들이 한국 주식시장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결국 전반적으로 호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악재들이 더 크게 작용하면서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