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에쁘니여자
에쁘니여자

집에 닭을 키우고 싶은데 신고대상인가요?

집에 닭 10~20마리를 키우며 계란을 얻고 싶은데 닭집을 지어야 할듯 합니다. 닭을 키우거나 닭집을 지을때 지자체에 신고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목에 따라 또한 마리수, 사육 면적에 따라 다 다릅니다.

    닭을 키우실려고 하는 지역이 도시이면 냄새 및 닭울음소리로 인한 민원이 들어 올수 도 있습니다.

    관할 지자체에 문의해 보시면 해당 지역이 가축제한구역인지 아니면 다른 제한 사항이 있는지 알려 주십니다.

    뭔지 문의 후에 키우실지를 결정하시는게 나을 듯 합니다.

  • 닭을 집에서 키우고 싶으시다면 지자체에 사전 신고해야 합니다.

    가축사육등록은 가축 전염병 등의 관리를 위한 제도입니다.

    현행 제도에 따라 닭과 오리의 사육장 규모가 10~50㎡ 정도라면 등록, 50㎡ 이상이라면 허가가 필요합니다.

    올해 여름까지 AI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주요 감염 경로로 소규모 사육 및 도축시설이 부각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익을 위해 가축을 기르기 위한 계획이라면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안전 및 위생 관리는 직접 기르는 닭이나 오리는 먹거리에 대한 믿음을 위해, 또는 아이들의 학습을 위해 많이 선택됩니다.

    하지만 AI로 대표되는 관리에 취약한 연결고리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이들을 기르고자 한다면 바뀔 규정에 유의하고,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해도 안전을 위해 방역이나 위생 등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지자체마다 닭 사육에 대한 규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닭을 키우려는 지역의 지자체 규정을 확인하고, 사전 신고 절차를 따르시기 바랍니다.

  • 집에 닭 10~20마리를 키우며 계란을 얻고 싶은데 닭집을 지어야 할듯 합니다. 닭을 키우거나 닭집을 지을때 지자체에 신고해야 하나요?

    == > 신고대상이 되지 않지만 "가축 사육제한 구역"인 경우 사육이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