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3.26

어려서부터 아이에게 너무 잘해주고 엄하지 않으면 아이가 버릇이 없어질까요?

3개월동안 일 때문에 아이가 할머니 집에서 잠깐 있었던 적이 있습니다.

엄마아빠하고 있을 때는 떼도 안 쓰고 말도 잘 들었는데

할머니 집에서 몇 개월 있다가 오더니 버릇이 없이 굴고

땡깡도 잘부리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꼭 엄하게 해야만 아이가 좋은 습관을 가지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자란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하거나 할때 예의에 어긋나거나 하는것은 단호하게 훈육해주시는것이 좋을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버릇이없어질수있어요

    집에왔으면지금이라도다사다잡는것이필요할수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버릇 없이 군다면 그 행동을 바로 잡아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버릇없는 행동을 그대로 봐주고 그냥 넘어간다면 습관이 되어버리고 버릇없는 태도는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기

    때문 입니다.

    무조건 오냐 오냐 봐주고 그냥 넘어가는 것만이 능사가 아닙니다.

    아닌 부분은 아니라고 알려주실 필요가 있어요.

    아이가 버릇 없는 행동을 한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버릇없이 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고, 왜 버릇없게 구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