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붉은안경곰135
붉은안경곰135

진단서는 과거 진단에 대해서도 의무발급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3

의사.한의사는 진단서를 의무적으로 발급을 해야 한다는데 진료가 현재가 아니라 몇년전에 했던 거라도 환자의 요청이 있으면 의무적으로 발급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단서 내용이 합당한 내용이라면 거부할 이유는 없습니다.

    필요시에는 진단서를 발급할수 있습니다.

    진단서발급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 의사와 한의사는 진료 당시에 작성된 진료기록을 근거로 진단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몇 년 전 진료에 대한 진단서 발급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진료기록이 충분히 상세하고 진단서 발급에 필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오래전 진료라 자료가 불충분하거나 기억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진단서 발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의사는 환자에게 진단서 발급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필요하다면 현재 상태에 대한 재진료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진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만일 환자가 요청하게 되면 진단서의 경우 몇 년 전꺼라도 의무기록 상 자료가 남아있다면 의무적으로 발급해야 합니다. 다만 양식이나 기타 필요사항은 각 병원에 유선으로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질문자님을 진료한 의사는 진단서 작성 요청에 당연히 응해야 하겠습니다. 다만 몇 년 전의 과거 문제에 대한 진단서가 현재의 상태를 반영하기는 어려우니, 구체적으로 어떤 목적으로 진단서가 필요한지를 확인해보셔야 하겠습니다. 또, 10년이 지난 진료기록이라면 이미 기록이 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진단서 발급을 요청할 수는 있습니다만...

    본인이 원하는 내용을 담아 줄지는 모르겠네요.

    (특히 기록이 제한적이거나. 담당의가 변경된 경우라면 더욱)

    저도 당일 진료 후, 진단서를 요청하시는 분이 있어서

    오늘 진료 보긴 했는데 , 진단은 잘 모르겠고,

    추후 검진이나 상급병원 진료가 필요하다고

    작성해서 보낸 적이 있습니다

  • 병원에서 환자가 진료를 보았다면 의사는 진료를 보는 시점에서 진료 기록을 남깁니다. 그러한 기록이 남아 있다면 환자의 요청에 따라서 당시의 진료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서 진단서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 의료법에 따르면 환자의 진단서 작성 요청에 대해서는 정당한 사유 없이는 거부하여서는 안 되는 것이 맞습니다.

  • 진단서 의무보관 기한은 3년입니다 기간 내 재발급 가능하고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병원 원무과에서 보관하고 있을 것입니다 병원이 폐업한경우 관할 보건소에서 기록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진단서는 과거에 진료받은 병명에 대해서 몇년이 지나더라도 환자의 요청이 있으면 발급해줍니다.

  • 사항에 따라 다르겠습니다.

    의사가 의학적인 문제가 있을 당시에 직접 진료를 했으며 진찰 및 검사로 확인이 되었던 사항에 대해서는 당연히 진단서를 작성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확인이 불가능했다거나 시간이 지나서 진료를 보시는데 지금은 의학적으로 알 수 없는 진단서를 작성할 수는 없습니다.

    가령 두달전 타박상을 오늘 처음와서 진단서를 써달라 이건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환자가 과거 진단에 대해 요구하였을 때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자료가 충분한다면 발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오래 전이라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없고, 입증하기 불충분하다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의무적으로 발급해야 한다는 법은 없습니다. 진단서 발급여부와 내용 등에 대해서는 담당 주치의와 면밀한 상의 및 동의하에 발행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