펭귄의 가죽은 얼마나 두껍길래 남극의 추위를 견딜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
남극은 엄청나게 추운데요,,, 펭귄은 그곳에서 살고 있잖아요, 펭귄의 경우 몸의 가죽들이 얼마나 두껍길래 남극의 추위를 견딜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펭귄의 가죽은 사실 매우 얇습니다.
남극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 펭귄이 생존할 수 있는 비결은 가죽의 두께보다는 다른 신체적 특징과 행동 때문입니다.
우선 가죽이 앏은 대신 두꺼운 지방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펭귄의 몸을 덮고 있는 지방층은 단열재 역할을 하여 체온 유지에 큰 도움을 줍니다. 마치 방한복을 입은 것처럼 몸 안의 열을 보존하고 외부의 추위를 차단하는 것이죠.
또한 펭귄의 깃털은 매우 짧고 촘촘하여 물이 몸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게 하고, 공기를 가두어 보온 효과를 높입니다.
특히 펭귄은 추운 환경에서도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혈액순환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몸의 중심부로 가는 혈관은 좁아지고, 몸의 끝부분으로 가는 혈관은 넓어져 열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펭귄들은 서로 옹기종기 모여 살면서 체온을 유지하고 바람을 막아줍니다. 마치 하나의 큰 보온병과 같은 역할을 하죠.
에너지 효율적인 활동도 이유입니다. 펭귄은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먹이를 사냥할 때는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움직입니다.
따라서 펭귄의 생존 비결은 가죽의 두께보다는 지방층, 깃털, 혈액순환 시스템, 군집 생활, 에너지 효율적인 활동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펭귄의 몸이 추위를 견디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펭귄의 깃털은 보온성이 높아서 추운 날씨에서 몸을 보호해줍니다. 또한 펭귄은 지방층이 두껍고, 혈액순환도 잘 되어 있어서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펭귄은 서로 밀어서 몸의 열을 공유하거나, 일부 펭귄은 겨울철에는 군집을 이루어 몸의 열을 공유하여 추위를 견디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남극은 겨울 평균 기온은 여전히 영하 20도를 넘는데요, 이러한 극한의 환경에서 펭귄이 추위를 견뎌낼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펭귄은 극지방의 차가운 물속에 들어가 사냥하고, 육지에서 새끼를 키우는데 몸에 묻은 수분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체온이 내려가게 됩니다. 이를 막아주는 것이 펭귄의 깃털입니다. 펭귄의 깃털은 다른 새들의 깃털과 달리 좌우의 크기가 같고, 깃털 안에 솜털이 2중막으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습니다.이는 잠수복과 같은 원리로 빈공간을 없애 물이 펭귄의 피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깃털에는 작은 공기구멍들도 있고, 특수한 기름도 흐릅니다. 물과 섞이지 않는 소수성이어서 물과 닿아도 밀어냅니다. 펭귄의 신체부위에서 깃털로 덮여있지 않은 부위는 발인데요, 펭귄의 발은 '원더네트(wonder net)'라는 특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상에 걸리지 않습니다. 일반 조류의 발은 동맥과 정맥의 길이 구분돼 있지만 펭귄의 원더네트 구조는 동맥과 정맥이 서로 꼬아진 형태의 모세혈관 다발로 이뤄져 있습니다. 빙하와 닿아 차가워진 펭귄의 피(정맥)가 몸속을 순환하는 따뜻한 피(동맥)와 서로 붙어있어 열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열 손실을 줄이는 것입니다. 또한 펭귄의 식사도 추위를 이길 수 있도록 고단백으로 이뤄집니다. 펭귄은 극지방에 사는 물고기와 크릴새우, 오징어 등을 주로 먹습니다. 모두 단백질이 풍부한 먹잇감이지요. 이런 고단백질 식사는 펭귄의 몸에 풍부한 지방층을 형성하게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추위를 이겨낼 수 있는 행동으로 '허들링'이라는 것을 합니다. 이는 추위를 견디기 위해 둥근 형태로 모여 선 후 한쪽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면서 서로의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펭귄의 가죽 자체는 두껍지 않지만, 두꺼운 지방층과 단열 효과가 뛰어난 깃털 덕분에 남극의 추위를 견딜 수 있습니다. 지방층은 약 2~3cm 두께로, 체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깃털은 물과 바람을 막아주며, 공기를 함유해 단열 효과를 극대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