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폭행·협박

짓굳은테리어52
짓굳은테리어52

폭행 민사 제기, 소멸시효 기준

2017년 3월 어느날 A는 B한테 맞았고, A는 2021년 4월 B를 신고했습니다.

B가 폭행으로 처벌을 받게 됐다면, A는 B를 상대로 손해배상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까요?

소멸시효가 3년이라는데,

손배 청구는 불법행위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가 있는날로부터 10년 경과 시 소멸한다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불법행위가 있는날이라면.. 폭행이 있었던 당일을 뜻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승환 대표 변호사
      이승환 대표 변호사

      안녕하세요. 이승환 변호사입니다.

      불법행위가 있음을 안 날은 질문 사안의 경우 폭행행위가 있은 날이 맞습니다(피해자가 맞은 것이기에).

      그리고 안놀부터 3년이나 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 둘 중 하나면 지나면 소멸시효는 완성됩니다.

      따라서 별도의 시효중단이 없다면 소멸시효가 도과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대해 답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폭행을 당한 날로부터 이미 3년을 초과한 상황이므로 불법행위를 원인으로한 손해배상청구는 시효가 소멸되어 할 수 없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김성훈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답변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불법행위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가 있는날로부터 10년 경과 시 소멸이라는 것은 둘중 하나만 도과해도 소멸시효가 완성되어 청구권이 소멸된다고 해석합니다.

      불법행위가 있는 날은 폭행이 있었던 날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