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심성 없는 아이 어찌 키우나요???
23개월인데요..
조심성이 너무너무 없는 아이라서 걱정이네요.
차가와도 위험한줄도 모르는거 같아요...
어찌 교육하고 알려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조심성이 없는 이유는 위험함을 인지를 하는 것이 미흡하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위험하게 행동을 한다면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것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조심성을 모르는것이 당연합니다. 눈앞에 있는 것을 쫓아가고 재밌는것을 잡기 바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두돌쯤 아이를 잘 교육시켜주지 않으면 사고가 많이 난다고 합니다. 아이들에게 밖을 나갈때에는 조심해야 되고 차는 위험하다고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차가 다니는 곳에서는 조심해야 되면 차를 피해야 된다는것을 계속해서 교육을 해주세요. 특히나 길을 건너기 전에는 멈춰서 좌,우를 보고 건너야 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이는 우리 아이들의 안정에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23개월 아이이면 세상에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는 나이 입니다
예민한 아이인 경우 조심성이 많아 잘 피할 수는 있지만 예민한 만큼 신경 써야 할 부분도 많이 있습니다
보통 아이를 키우다 보면 남에 떡이 커 보인다고 내 아이만 못하는 것 같은 마음이 들기 일수 입니다
성격 마다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느 성격이 좋다 고는 말 할 수 없습니다
일상 생활에 둔한 면이 있다면 하나하나 교육 시켜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들은 한번 이야기 해서 고쳐 지는 것보다 반복적으로 교육 해서 고쳐 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
인내심을 가지고 교육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조심성이 없어서 걱정이시군요. 이는 아이마다 성격이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 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지속적으로 주의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집안에서는 날카로운 물건이나 깨지기 쉬운 물건을 치우고, 계단이나 모서리 등 위험한 장소에는 보호장치를 설치해주세요.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교통수단을 접할 때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고,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길을 걸을 때는 손을 들고 다니도록 가르쳐 주세요.아이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는 즉시 대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차도로 뛰어들려 한다면 손목을 잡아끌어 제지하고, "위험해요! 안돼요!"라고 말해주세요. 그리고 왜 위험한지 이유를 설명해 주고, 올바른 행동을 가르쳐 주세요. 이러한 교육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일관성있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아이가 안전한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더 나은 행동을 하게 됩니다.
박물관이나 과학관 등 체험학습장을 방문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게 해보세요. 이를 통해 아이는 자연스럽게 안전에 대한 개념을 배울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먼저 안전한 행동을 보여주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따라 배우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일상생활에서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아이에게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이가 조심성을 키우고,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제가 드린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조심성이 없다면 안전에 관련된 영상이나 다큐멘터리 간단한 걸 보고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조심해야 하는걸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3개월이라서 아직 잘 모르고 그러는거 같습니다. 매번 아이에게 이야기하여 교통 및 생활 안전에 대해 이야기해 주고 위험성을 말해주어 조심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3개월 아이가 조심성이 없어서 걱정이 될 수 있지만, 이 시기 아이들은 아직 위험에 대한 개념이 미숙하므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안전을 위해 점진적으로 위험 인식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아이에게 구체적인 상황에서 위험성을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차가 오는 길에서는 “차가 빠르게 오면 다칠 수 있어”라고 구체적으로 말해주며 반복적으로 경고하면 위험 상황을 인지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는 실질적인 상황에서 아이가 스스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되, 부모가 옆에서 지켜보며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과하게 간섭하기보다는 작은 위험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규칙을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가르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위험한 장소나 물건에 대해 “여기는 가지마”, “이건 만지면 안돼” 같은 단순한 규칙을 반복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직 까지 23개월이면 위험을 인지 못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안전 개념에 대해 놀이로 반복 적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 실제 생활 속에서도 안전 습관을 익혀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