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세아이말대꾸가 점점 심해져요 이게 정상인건가요
9세아이 점점 말다꾸가 느려나요 이게 정상인가요
정말 미칠지경이예요
제가한마디을하면 열마디을하는데 절이겨먹을려구하는건지 9세여서 그런건지 알수가없어서요 이제 9세아이들의 특성인진 정말힘드네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래 그시기에는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시기로 아이가 말대꾸를 많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아이를 무조건 혼내거나 타이르기버다는
왜 그런행동을 하는 지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도권 싸움인것 같네요 남자아이가 아니고 여자아이같은데 언어가 일찍 발달하는 여자아이에게 더 빨리 더 자주 나타나는 특성입니다. 실컷쏟아내도록 허용하시되 위헝한 일이나 나쁜 일이 아니면 허용해주시세요. 그 대신 반응을 적게해 피드백을 줄이시면 아이의 반응과 강도가 줄어들 것입니다. 인정욕구이기도 하고 자신이 이길 수 있다는 승부욕구이기도 한데 반응을 하시면 더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에게 져준다는 심정으로 무덤덤하게 하시면 아이도 제 풀에 꺽일 것이니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시도해 보세요. 우선 아이의 입장을 들어보시고 아이에 입장에서 다시한번 생각해 보세요.
어른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행동을 바라보았을때 버릇이 없게 느껴지는 등의 감정이 들수 있으니 아이 입장에서
생각해보면서 대화로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대꾸는 좋지 않죠 그러나 아이의 감정과 심리를 파악 한다면 아이의 말대꾸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정당성을 인정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말하는 것을 귀 기울여 듣고 아이의 의견에 적절한 피드백을 주어야 합니다. 아이와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하면 부모에 대한 신뢰와 존중은 쌓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가 났을 때는 좀 더 기다리셨다가 아이의 감정이 가라 앉으면 그 때 대화를 나누시길 바랍니다.
따뜻한 눈빛과 차분한 어투로 대화를 이어 나가면 아이의 말투도 달라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별히 이상할것은 없습니다.
9세의 아이라면 자기주장이 강하고 언어적인 발달좋아지는 시기입니다
과거에 비해서 다양한 어휘를 습득하기에 위처럼 말대꾸가 많아지거나 말장난이 늘어날수있습니다
이럴땐 아이의 흐름에 끌려가지 않는것이 좋으며
적절한 정도에 훈육만 해주면서 안되는것에 대해서는 계속 말하는게 오히려 스트레스가 될수있으니
강하게 멈추도록 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자아가 성장하면서 보일 수 있는 모습입니다.
부모님께서 행동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말대꾸를 하는 상황에서 훈육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엄마에게 대든다는 것은 엄마가 아이들에게 평소 했던 말이나 행동이 아이가 볼 때 부당하다고 느낀다는 점입니다.
아이가 부당하게 느낀다는 것은 평소 엄마가 자기 방식대로 감정적으로 아이를 대해왔다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엄마가 먼저 반성을 해야 하며, 아이들을 대할 때 감정에 휘둘려서 자기도 모르게 아이에게 함부로 하고 상처를 주지 않았는지 점검을 해보시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말이란 상대방에게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다만 막말, 욕 , 상처 주는 말은 조심해야 합니다. 말을 잘하고 살려면 대화가 되고 소통을 하며 사람이 사람을 이해하며 조언, 의논으로 배워나갑니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누구나가 시간이 걸립니다. 특히 아이들은 더 오랜 시간이 걸리죠. 부모님은 내 사랑하는 아이를 위해서라도 자신의 감정을 컨트롤하며 아이를 의사 표현하는데 다듬어주며 도와줘야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