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3.09.12

기독교와 천주교가 갈라지게된 원인은 무엇인가요?

종교적인 뿌리가 같고 종교의 교리면에서도 커다란 차이는 없는 기독교와 천주교는 역사적으로 어떤 이유때문에 갈라지게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주교에서 종교개혁을 하여 기독교로 분리하게 된것을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자 근본적인 원인은 천주교가 타락하여 성경의 말씀에서 벗어낫기 때문입니다.

    천주교가 세상적인 권력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성경이 가르침과는 다른 교리를 가르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것으로 인해 루터가 종교개혁을 깃발을 들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기독교와 천주교가 분열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교황권의 문제입니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뒤를 이은 교황을 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합니다. 그러나 11세기경, 동로마 제국과 서유럽 사이에 교리와 관습의 차이가 발생하면서, 교황권의 범위와 권한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논쟁은 결국 1054년,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로마 교황이 서로 파문을 줌으로써, 기독교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둘째는 성상 숭배의 문제입니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와 성모 마리아, 성인의 모습을 그린 성상을 종교적으로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러나 8세기경, 동로마 제국의 레오 3세 황제는 성상 숭배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 정책은 동방 정교회와 서유럽 사이에 큰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1054년의 분열로 이어졌습니다.

    이외에도, 성찬식의 문제, 면죄부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기독교의 분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기독교와 천주교는 종교적인 뿌리가 같고, 종교의 교리면에서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그러나 교황권의 문제, 성상 숭배의 문제 등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두 종교는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는 1527년 마틴 루터, 장 칼빈 등의 종교 개혁으로 초대교회의 모습을 되찾아 예수교로도 불리는데 중세의 교회, 천주교는 많은 부폐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면죄부등을 팔아서 천국에 갈수 있다고 하는 등의 모순을 보이기도 했기에 루터와 같은 교회 개혁자 들이 카톨릭에 반해서 새로운 종교 개혁을 일으켰고 그래서 기독교( 개신교)가 나오게 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