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감과 동시에, 호가가 급격하게 변동하는건 어떤 이유가 있나요?
장마감과 함께 3시 20분에서 30분 사이에 호가창이 정신없이 바뀌는 주가도 많은데, 어떠한 이유에서 그런건가요? 그 시간에 매수를 하게 되는 이유는 따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시간대에는 직접적으로 체결되지 않으며 30분에 단일가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투자자들이 서로 눈치를 보는것이며 일부러 가격을 올렸다가 내렸다가 속임수 형태로 기만하는 매매도 섞여있기 때문입니다. 즉 허수성 주문이 상당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시간동안 왓다갔다 하면서 속임수 형태의 매매주문이 많이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후 3시 20분~ 3시 30분 장 마감 직전까지 호가창이 정신없이 바뀌는 것은 장 마감 동시호가 매매 때문입니다.실시간으로 주식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들어온 매수/매도 주문들을 모두 모아 오후 3시 30분에 한 번에 체결하여 그날의 종가를 결정하는 방식이라서 매수와 매도 물량이 쌓이는 것이죠. 이 시간에 매수하는 이유는 장 마감 직전의 정보 변화에 대응하여 마지막으로 수급을 반영하고 가격을 결정짓는 과정에 참여하려는 전략입니다.
3시20분부터 10분간(3시30분까지)은 실제 거래가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호가를 받은 뒤에 30분에 한번에 체결을 시킵니다.
그래서 허위 호가도 많고 해서 10분간 호가창이 어지럽지만 59분쯤 지나면 제 가격 찾아갑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장마감과 동시에 호가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마감 동시에 호가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은
정규 매매 시간 동안의 매수, 매도 주문이 모두 취합되면서
시간 우선 원칙이 아닌 가격 및 수량 우선 원칙이 적용되면서
변동성이 커지게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마감 직전에는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하루치 매매를 정리하면서 잔량을 쏟아내거나 마지막 포지션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패시브 펀드들이 지수 맞추려고 마감가 근처에서 대량 주문을 넣는 것도 흔한 일이죠.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왜 갑자기 이렇게 변동이 심해지나 당황스럽지만 제도적으로 정해진 특이한 규칙이 있어서라기보단 단순히 큰손들이 하루 장부를 마무리하는 시간대라서 그렇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그 시간대에 기업의 호재 또는 악재 공시가 많이 나오다보니 해당 내용따라 변동도 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