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조영술과 심장 CT로 알 수 있는 질병이 차이가 있나요?
아버지께서 흉통이 있으시고 심장이 쥐어짜는듯한 고통때문에 대학병원에서 CT, 심전도 검사, 피검사 등등을 하셨습니다 결과는 당뇨전단계와 고지혈증이셨어요 약도 처방받으셨습니다 그런데 의사선생님께서 계속 아프면 병원에 1박 입원해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아보라고 하셨습니다 제가 알기론 심장에 막힌 혈관을 더 자세히 볼 수 있다는 차이가 있는 걸로 아는데 이걸로 CT로는 안나오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을 발견할 수 있나요? 고지혈증만 있다고 하셨는데 조영술을 받으면 더 나아지는 점이나 새롭게 병을 발견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건가요? 받을지 말지 고민되어 질문 남깁니다 그리고 대략적인 가격도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흉부외과 전문의 차호정 입니다.
관상동맥 CT의 경우에는 관상동맥에 병이 있다없다 정도는 알 수 있지만 병이 있다면 얼마나 좁아져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비침습적이라는 장점은 있습니다.
반대로 관상동맥조영술의 경우에는 침습적인 검사이긴 하지만 관상동맥의 어느 부위가 얼마나 좁아져 있는지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CT 결과를 보고 치료하지 않고 반드시 혈관조영술을 통한 진단을 통해 치료 방향을 잡게 됩니다.
비용은 검사 받으실 병원에 문의해 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관상동맥조영술의 경우 검사하시는 병원에 직접 문의를 해보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심장CT cardiac CT의 경우 민감도는 높은 편이고 특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증상이 허혈성심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상황에서
심장CT가 정상인 경우 허혈성심질환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고려합니다.
하지만 담당교수님 말씀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걱정이 되신다면 아무래도 관상동맥조영술이 최적의
검사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관상동맥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요즘에는 검사기법도 발달하여 예전과 달리 대퇴동맥이 아닌 요골동맥을 통하여 검사를 하기 때문에
검사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최근에는 덜 침습적인 심장 CT검사를 먼저 시행하게 되나 영상을 이용한 간접적인 평가로 관상동맥 조영술보다 제한점이 있을 수 있고 병변이 있을 경우 즉시 시술이 가능하며 약물 투여로 혈관 반응을 확인 할 수 있는 등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은 병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며 추가적 시술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아하 정책상 신고 대상임을 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