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돌봄 결핍이 있으면 성인이 되어서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아주 어릴때부터 부모가 사이가 좋지않고 이혼까지 한상태에서 부모의 돌봄보다는 조부모의 손에 커와 부모에 대한 결핍이 있는 사람이 성인이 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영아기 때 부모와의 애착형성은 향후 성장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개인 차이가 있으나 생후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 자신의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사람에 대한 안전감, 신뢰, 그리고 긍정적 관계를 말합니다.
3개월에서 8개월 즈음에는 애착 개념이 형성되면서 사람 구분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낯가림도 어느 정도 하게 되는데요. 생후 9~18개월에는 엄마 껌딱지 시기가 오고 분리불안도 오지만 사랑과 신뢰로 애착형성이 잘 된다면 빠르게 극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18개월 이후에는 다른 가족에게도 애착을 보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부모, 아이와의 관계가 친밀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의 돌봄이 결핍 된 상태가 계속 지속 되어진다면
우선은 안정된 애착이 형성되지 않았기에 아이에게 중요한 자신감과 자존감이 떨어지는데 원인이 발생 하겠습니다.
또한 마음의 상처가 깊기 때문에 성격변화 에도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쭉 이어질 수 있어요.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늘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며 아이를 케어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랐기 때문에 자녀들에게도 부모님의 사랑을 주지
못합니다 못 받아 보았기에 주는 것도 매우 어렵습니다
항상 애정이 결핍 된 상태를 보이게 되고 결혼 후에서 부모님과 비슷한 모습으로 생활 할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와의 애착 형성이 되지 않아서,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의 갈등 속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면,
그로 인해 감정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돌봄 결핍은 성인이 되어서 정서적,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불안정한 애착 형성으로, 신뢰와 친밀감을 쌓기 어려워하거나 관계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또한, 감정 조절 능력이 약해지고 우울, 불안, 분노 등 정서적 어려움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자아 존중감이 낮아져 자신을 가치 있게 여기지 못할 가능성도 큽니다. 이러한 결핍은 성인이 되어 대인관계에 불안정성을 야기하거나, 자아 정체성 혼란을 겪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정서적 회복과 심리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와의 애착 형성이 부족할 경우 갈등해결이나 감정 표현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직장 및 개인적 관계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치료나 상담을 통해 극복할 수 있지만, 초기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돌봄 결핍은 성인이 되었을 때 여러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서적 불안정,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존감 저하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부모와의 애착 형성이 부족할 경우,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대인 관계에서의 불안이나 의존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부모의 돌봄 결핍은 성인이 되었을 때 여러 가지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사랑과 지지가 결여된 경우, 성인이 되었을 때 불안감, 우울증, 자존감 저하 등의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부모와의 관계에서 결핍을 경험한 사람은 대인 관계에서 신뢰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친구나 연인과의 관계에서 갈등이나 고립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부모의 역할 모델이 부족하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직업 선택, 가치관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성인이 된 후 자신이 부모가 되었을 때, 자신의 부모 역할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혼란이나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의 경험, 성격,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립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책임감이나 의사결정능력이 저하될 수 있어 사회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돌봄 결핍은 성인이 되었을때 여러 문제를 초래합니다. 정서적 불안정성, 낮은 자존감, 대인관계 어려움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