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경우에 증여받은 거 상속세 내야하나요

2023. 09. 18. 00:00

증여를 받은지 10년이 안된 사람의 아버지가 사망했을 경우 증여했던 재산도 상속재산에 포함해서 상속세를 계산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증여를 받은 후에 증여세를 냈으면 상속재산 계산 후에, 또 증여받은것의 상속세를 내야 하는 건가요?


총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영우회계법인

안녕하세요. 이상규 회계사입니다.

말씀대로 상속인이 상속개시일 전 10년이내에 사전증여받은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됩니다.

사전증여재산을 포함하여 상속세를 계산하며,

이미 납부한 증여세는 일정한도내에서 기납부세액으로 차감해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9. 18. 10:57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조영민세무회계

    안녕하세요. 조영민 세무사입니다.

    증여일로부터 10년 이내 피상속인으로부터 받은 증여재산은 상속재산가액에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이 때, 증여세 신고 당시의 산출세액에 대해서는 상속세 신고시 세액공제를 적용받으므로 이중과세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 09. 18. 09:5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자성세무회계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상속개시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이 있다면 사전증여재산으로 하여 상속재산가액에 포함되어 상속세가 산출됩니다.

      이 때, 증여 받을 때 부담한 증여세가 있다면 증여세액공제로 하여 차감해주기 때문에 이중과세는 아닙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9. 18. 02:4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세무회계 문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사전증여재산이 상속재산에 포함되어 계산된 상속세에서 기존에 납부한 증여세는 공제를 해줍니다.

        2023. 09. 18. 00:0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