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일이 있어도 체벌은 안하는게 맞나요?
남자아이인데 요즘들어 너무나 아이가 많이 거칠고 까불어대서 문제입니다.
동생한테도 발로 차대기 일수고 심지어 부모에게도 주먹과 발로 엄청세게 차기도 합니다. 아직까지 체벌은 한적이 없지만 체벌은 안하는게 맞죠?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슨이유든 체벌은 금하는 것이
아이의 성장과 정서면에서 좋습니다
아이에게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의 훈육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말투나 행동을 보았을때 버릇이 없게 느껴지는 등의 감정이 들수 있습니다.
어른들의 생각이 아닌 아이 입장에서
생각해보면서 이해해보려고 노력하시고 이성적으로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보호자의 처벌은 법적으로도 금지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체벌은 공포와 불안감을 일으켜 아이의 행동을 즉시 바꿉니다. 또한 본보기 체벌은 체벌을 당한 학생이 아닌 체벌을 본 학생들에게 강화 효과를 줍니다. 하지만 체벌은 교육목적상 적합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제 큰조카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위의 사례처럼 하다가 제 매형 조카의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서는 크게 혼냈다고 합니다. 손을 댔는지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호되게 혼낸 것은 틀림없는데, 그 이유는 그 사건 이후 조카가 말을 거부하는 등 언어장애를 겪었기 때문에 알 수 있었지요. 그 후 심리치료 미술치료 등을 받아야했는데요.
체벌은 아이에게 아무런 교육적 효과가 없다는 것은 연구결과로 기정사실로 나와있습니다. 폭력을 쓰면 그 순간만을 모면하면 된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아이가 커서 자신의 뜻대로 안될 때 폭력을 사용할 확률도 높아집니다. 따뜻하지만 엄한 훈육이 필요할 뿐 체벌은 안됩니다. 체벌을 하게 되면 부모님께서도 점점 강도가 높아지고 체벌에 의존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아무쪼록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을 전혀 하지 않아도 문제입니다. 말로만 훈육을 하게 된다면 아이가 나쁜짓을 해도 그 순간만 끝나면 되지 라는 생각을 갖을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선에서 약간의 체벌을 통해 훈육한다면 보다 더 아이가 조심할 것입니다.
다만, 체벌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부모님들마다 다르기 때문에 누구의 말을 듣지 마시고 질문자님이 갖고 계신 양육방식에 대한 가치관에 맞추어 양육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맞아도 되는 어른이 없는 것처럼.....맞아도 되는 아이도 없습니다!!!!!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라는 말이 있듯이 체벌은 아이의 몸과 마음만 아프게 합니다.
쉽고 편하게 제압할 수 있는 체벌 대신 힘들더라도 아이와의 마음을 다듬어주고 정성껏 만들어가는 행복한 훈육에 대해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에 대한 체벌은 아이를 힘으로 굴복시켜 그 순간에만 행동을 중지시킬 뿐 궁극적으로 아이를 교육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을 해서 말을 들으면 다음번에도 말을 듣지 않으면 강도가 더 쎈 체벌을 하게 됩니다.
올바른 훈육을 위해서 약간의 체벌은 괜찮다라고 하지만 그래도 물리적 체벌이 지속될 경우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돼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의 장기기억 공간인 ‘해마체’ 같은 뇌의 일부분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가급적 체벌은 하지 않아야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러고 보니 저도 어렸을때 참 많이 맞았던 기억이 있기는 합니다 ^^;;;
하지만,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