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David59
David59

서양은 월세 위주인데, 우리나라는 왜 전세 위주의 관행이 생겼을까요?

서양은 월세 위주인데, 우리나라는 왜 전세 위주의 관행이 생겼을까요?

물론 우리나라도 최근에 많이 바뀌고 있지만 수 년 전까지 대부분 서양의 월세와는 달리 전세였는데 그 이유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오게 되고 수요가 몰리다 보니 부동산 가격이 상승을 하게되자 매매로는 너무 부담스럽고, 조금 할인된 가격으로 돈을 집주인에게 잠깐 빌려주고 그 댓가로 거주를 하고 집주인은 그 돈으로 다른곳에 투자를 하여 이익을 내는 심리가 부합이 되어서 지금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아파트 가격이 매우 비싸고 매매보다는 금융의 지원을 받아서 전세로 거주를 할 수 있는 편리한 제도입니다.

    선순위 대출을 피하고 대항력을 갖추고 보증보험을 가입을 하면 전세제도도 괜찮은 제도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예전부터 물권을 담보로하여 돈을 빌리는 제도가 있었는데, 19세기 개화기에 외국인과 농촌인구의 이동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면서 지금과 비슷한 제도로 발전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부동산 관련한 금융 시스템이 없어서 주거를 마련해가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인데, 이후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월세보다 전세의 장점이 두드러지다 보니 지금까지도 전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 전세사기로 인해 전세폐지론이 힘을 얻고 있지만 전세제도를 대치할 만한 제도가 마땅치않아 보완쪽으로 가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상해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우리나라 산업화 과정에서 생겨난 임대차방식입니다. 즉, 산업화에 따라 도심화가 이루어지면서 많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하게 되고 부족한 주거공간으로 월세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되면서 임차인은 매월 주거비용을 내지 않아도 되고 임대인입장에서는 큰 돈을 한번에 받아 다른 투자자금 또는 다른용도로 사용가능한 전세제도가 점차적으로 확대해나가게 됩니다, 물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차인의 권리에 대한 보호가 중시되면서 법이 만들어지고 개정되면서 현재까지 오게 된 부분입니다. 그리고 외국의 경우는 비슷한 과정을 겪더라도 우리나라와 다르게 렌탈에 대한 개념이 확정되면서 부동산에 대해서도 렌탈개념의 월세가 보편화된것입니다, 즉 그 나라 문화, 상황에 따라 고착되는 임대차양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에 우리나라는 돈을 융통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금융 발달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인간의 거래가 활발했는데 그것이 전세제도의 시작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계에 몇 안되는 전세제도를 유지하는 나라이며 가장 잘 발달된 나라입니다. 조상들이 돈에 대한 경제관념이 매우 뛰어난것으로 생각됩니다. 돈이 필요하여 본인의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 집을 내준 것이 시초라는 유례가 있고 전세가 가장 발달한 80년대의 경우에는 시중 금리가 높았기에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보다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그 돈을 다른곳에 유용한 비율이 높았습니다. 최근에는 전세를 레버리지로 삼아서 갭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발달하게 되었고요

    도움되셨다면 좋은 평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