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민간임대 아파트와 공공임대 아파트의 차이는?

민간임대 아파트와 공공임대 아파트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분양가 이외에 다른점이 궁금합니다.

분양시 조건의 차이점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현심 공인중개사
    유현심 공인중개사
    우성공인중개사사무소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 아파트 : 정부나 고공기관(한국토지주택공사, 지방자치단체 등)이 소유하고 운영합니다.

    민간임대 아파트 : 민간부동산 개발업자, 건설사, 투자자 등이 소유하고 운영합니다.

    공공임대아파트 : 주로 저소득층, 신혼부부, 청년, 고령자 등 주거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입주자격은 소득, 자산, 가족구성원 수 등에 따라 제한 됩니다.

    민간임대아파트 : 소득 수준이나 자산에 관계없이 누구나 임대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임대조건에 따라 임차인이 선호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투자도 가능)

    공공임대아파트 : 임대료는 상대적으로 낮고 입주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되며 임대기간 또한 통상 5년, 10년, 20년 이 통상적 입니다.

    민간임대아파트 : 임대료는 시장 가격에 의해 결정 되며, 공공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다만 공공임대와 달리 소득수준이나 재산 변동에는 구애 받지 않으며, 처음 정해진 금액으로 임대료는 유지 됩니다. 임대기간은 통상 1년, 2년 등의 단위로 계약되나 장기 임대의 경우 통상 10년 입니다.

    공공임대아파트 : 정부가 다양한 지원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임대료 보조, 보증금 대출지원, 주거 안정성 강화 등이 포함 됩니다.

    민간임대아파트 : 일반적으로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은 없지만 일부 경우 지방자치단체나 민간기업의 프로모션을 통해 지원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런차이이가 있으니 자세한 정보확인하셔서 맞는 곳으로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민간임대는 민간이 주택을 소유하고 임대하는 개념이고 공공임대는 정부가 주택을 소유하고 임대하는 개념입니다.

    민간임대의 장점은 10년간 장기 임대가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가 특징입니다.

    공공임대 또한 장기간 거주가 가능하고 민간임대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를 제공합니다.

    단점으로는 소득 수준이나 가족구성, 연령 등 엄격한 입주조건이 있습니다.

    두 임대주택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임대는 LH 및 지방공사가 소형평형의 주택을 일정한 자격을 가진 임차인에게 공급하는 방식이며, 민간임대는 민간 임대사업자가 직접 운영하는 임대주택입니다.

    공공임대의 경우 유형으로는 영구임대, 국민임대, 장기전세, 매입임대, 전세임대, 행복주택등이 있고,

    임대기간은 최소 5년에서 영구임대까지 있습니다. 주택의 크기는 60~85m2까지 있고, 무주택자 저소득 서민에게 주로

    공급이 됩니다.

    민간임대의 경우 건설임대와 매입임대가 있고, 4~8년 거주가 가능하며, 주택크기는 제한이 없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최소한의 거주기간 보장이 가능하고, 안정적 임대 공급이 목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