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치료 후 재발기간이 궁금합니다.
작년 10월에 허리 오른쪽 뒤쪽에 대상포진 걸려서 피부과에서 약 2주동안 치료받으며, 수포 생기기 전에 치료를 끝냈습니다.
이후에 지금까지 해당 부위 근처에 신경통과 근육통증이 느껴지곤하는데요.
겉으로 보기엔 수포없고, 크게 흔적이 없지만 몇달ㅇ산에 다시 또 대상포진이 올라올수있는건가요?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1년에 한번씩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대상포진 걸린 해에는 예방접종 하면 안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신경절에 잠복해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활성화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재발은 전체 환자의 약 5~6%에서 나타나며 50세 이상이거나 면역저하(당뇨, 암, 면역억제제 복용), 만성통증, 만성 스트레스, 첫 대상포진 당시 심한 신경통이나 통증 동반, 수포 없이 통증만 있었던 비정형 대상포진 경험자인 경우 흔합니다.
신경통이 남아있는 상태라면 재활성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예방접종은 조스타박스 생백신과 싱그릭스 단백질 재조합 불활성 백신 두 가지가 있습니다. 대상포진 경험자도 접종이 가능하며 증상 완전 호전된 6개월~1년 이후 접종을 권장합니다. 싱그릭스는 2회 접종입니다. 두 가지 다 매년 맞는 백신이 아닙니다.
작년 10월에 치료했다면 지금 약 5개월 경과된 상황이고 수포 없이 조기치료했으나 신경통이 지속 중입니다. 겉보기로 증상이 없고 재발로 확진되지 않은 상태라면 예방접종은 가능하지만 신경통이 계속되는 상황이니 신경과나 통증클리닉에서 평가를 받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 주신 내용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한 번 발병한 이후에도 바이러스는 신경절에 잠복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신경통이나 근육통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를 포스트헤르페스 신경통이라고 합니다. 대상포진 자체가 재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면역 체계가 약해지면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몇 달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다시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면역력을 높여 재발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예방접종을 한 번만 하면 됩니다. 다만 어떤 때라도 예방접종을 하기에 앞서 개인 건강 상태에 따라 전문의 상담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발병 직후에도 접종이 가능하지만, 증상이 완전히 회복된 후에 접종하는 것이 권장되기도 합니다. 회복 후의 시기는 개인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재활성화되어 발생하는데, 한 번 발병한 후에도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저하될 때 재발 위험이 높아지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포진 후 신경통)이 오래 지속될 수 있죠
발병 후 몇 년 이내에 재발할 수 있지만, 재발 주기는 개인차가 있어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워요. 통상적으로, 재발 확률은 첫 발병 후 1~2년 내에 높습니다. 만약 대상포진 후 계속 통증이 느껴진다면, 이는 신경통의 증상일 수 있고, 재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요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50세 이상에게 권장되며, 접종 후 면역력이 높아져 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대상포진을 겪은 후에는 접종을 해도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을 겪은 해에 예방접종을 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2~6개월 정도 지나면 접종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