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파트 관리비생각하면 노후에 아파트에 거주하는게 독이될까요??

아파트 관리비생각하면 노후에 아파트에 거주하는게 독이될까요??

보통 한달에 20만원이상나오나요?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창효 공인중개사
    유창효 공인중개사
    대한 공인중개사

    아파트도 세대수와 평형에 따라 관리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노후에 단독주택등에 거주할 경우 공과금에 대한 부담은 아파트와 다르지 않고 건물에 대한 권리를 본인 스스로 하여야 하는 만큼 아파트에 비해 손이 많이 갈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관리비자체가 부담일수는 있지만, 관리측면이나 안전성, 생활환경등을 고려하면 단독주택보다는 유리할것으로 판단되어 집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본인의 소득에 맞추어 살아야겠지요.

    아파트 관리비 20만원은 그만한 비용이 발생하니 내야 하는것이고 빌라에 살면 그런 관리가 없으니 적게 내는것입니다.

    노후라도 모든 사람의 자산 및 소득이 다를테니 누군가에겐 20만원이 큰 돈이겠지만 누군가에겐 크지 않은 돈일 수 있습니다.

  • 아파트 관리비는 세대와 공용이 분리가 되어 부과 됩니다.

    세대는 본인 세대가 쓴거 공용은 공동부분에 들어가는 여러가지들 보안업체/공용전기/공용온수 등입니다.

    아파트에 사는 이유는 이러한 관리를 받고 안전하고 깨끗하게 살고자 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물론 그 관리에 관한 비용은 높습니다.

    빌라 같은 경우는 공용부분의 관리비가 거의 들어가지 않으니 즉 관리해주는 사람도 시설도 없기 때문에

    월 관리비가 적게 들어 갑니다.

    요즘 신축아파트들은 IT기기와 시스템들이 워낙 많이 들어가서 평균 평당 거의 1만원 꼴 입니다.

    편리나보안 필요없다 싶으면 빌라나 주택으로 그래도 관리받고 치안 및 보안이 필요하다 싶으면 아파트로

    가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아파트는 일반 주택보다 관리비가 많이 나오긴 합니다

    전기세나 가스비는 본인이 사용한만큼 내면 되는데 일반관리비,공동관리비가 있어서 많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돈벌이가 없으면 관리비도 부담이 많이 됩니다

    관리비는 더들지만 또 여러가지 편리한 점이 있으니 그래도 아파트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노후에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아파트에 따라 다르지만 적게 나오는 곳은 10만원 이하의 기본관리비가 나오는 곳도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세대수가 많으면 기본관리비가 적게 나오죠. 독인지 약인지는 모르겠지만 빌라나 주택에 살면 청소, 관리등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노후에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이 관리비 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관리비는 아파트의 위치, 크기, 시설, 난방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책정되며, 일반적으로 한 달에 20만원 이상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관리비를 절약하기 위해 아파트 관리비 앱을 활용하거나, TV수신료 면제, 대가족 할인 등의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노후에 아파트 거주가 부담스럽다면, 관리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소형 아파트나 다른 주거 형태로의 이동을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재정 상황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최선의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아파트 관리비 때문에 노후에 빌라쪽으로 실거주 잡고 아파트 매수하여 월세수익을 얻는등으로 하시는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노후 아파트의 경우, 커뮤니티가 없는 반면 승강기, 페인트 등 장기수선충당금이 비싸게 나오는 경우가 있고

    신축 아파트는 장기수선충당금이 적은 대신 커뮤니티 공동 관리비가 많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리비만 고려한다면 사전에 장충금 적게 나오는 구축 아파트를 알아보시는게 좋으나

    투자성은 신축에 비해 확연히 떨어진다는걸 인지 바랍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