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할 때 아이가 자꾸 반항해요..;
아이가 훈육을 받으면 자꾸 반항하는데, 어떻게 해야 훈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고민입니다.
훈육을 할 때 아이가 반항을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고 양육자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훈육 시에는 언성을 높이기보다는 차분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만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훈육을 받을 때 자꾸 반항하는 것은 일반적인 행동입니다. 특히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 아이들은 자아가 강하게 형성되면서 자기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훈육에 반응하지 않거나, 반항적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가 일관되게 긍정적인 훈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반응한다면 아이는 점차 규칙을 이해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아이들은 일관성 있는 규칙과 예측 가능한 반응을 통해 훈육을 받아들입니다. 부모가 훈육에 일관되지 않으면 아이는 혼란스러워하고 반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행동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방식으로 반응하고, 규칙을 자주 바꾸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의 반항적인 행동을 효과적으로 훈육하려면, 일관성 있는 규칙, 긍정적인 행동에 대한 칭찬, 아이의 감정에 대한 공감, 차분한 대응 등을 결합하여 점진적으로 훈육을 진행해야 합니다. 반항은 대부분 아이의 감정적 요구나 불만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대화와 규칙을 통해 조율하면 반항을 줄이고, 훈육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을 훈육할 때에는 바로 이렇게 훈육을 하여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훈육을 받으면 자꾸 반항을 하는 이유는
훈육을 받으면서 곰곰히 생각을 해보면 자신이 잘못한 것이 없는데 억울하게 혼나는 상황이 싫어서 말로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어려워 행동으로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어른에게 반항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은 옳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훈육 도중 반항을 한다면 단호하게 엄마.아빠가 이야기를 하는데 감정적으로 반항을 하는 태도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훈육 도중에 반항을 하는 태도가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훈육이 다끝난 후, 엄마,아빠가 이야기가 끝난 뒤에 부드러운 어조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훈육은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아이의 감정과 필요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훈육을 이어가며, 아이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의 원칙과 규칙을 명확하게 정하고 일관되게 지켜야 합니다. 규칙에 대한 설명을 아이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합니다. 아이가 규칙을 알면 예측 가능한 행동을 할 수 있으며, 반항 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훈육에 반항하는 상황은 많은 부모들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입니다 아이의 반항은 단순히 말을 안 듣는 행동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려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의 반항을 단순히 억누르려 하기보다는
아이가 왜 그런 반응을 보이는지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효과적인 훈육은 아이의 행동을 교정하면서도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아이가 스스로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돕는 과정이어야 합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익 반항할 때 즉각적으로 제압하려 하기보다는 "지금 화가 났구나 엄마가왜 이 말을 하는지 궁금하겠어"라고 말하며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 받아들여졌다고 느끼면 반항적인 태도가 완화되고 부모의 말을 더 잘 들을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반항하는건 부당한것을당했거나해서그럴수있으나
우선은저런행동이나오면잘못되고예의없는것임을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때 자꾸 반항을 한다면 아이에게 대화를 통해 부드럽게 타이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