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미국 채권 금리는 왜 이렇게 오르는건가요?

미국 기준금리를 4.5%까지 내린걸로 알고 있는데, 채권 장기 금리는 5% 이상 올랐더라고요.

그럼 지금 대출 받아서 채권사면 무조건 이익인 것 아닌가요?

왜 이렇게 채권 금리가 오르는것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투자자들은 채권을 매입할 때 금리를 높게 요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채권금리는 정부의 과도한 재정적자 및 국채 발행, 연준의 예상치 못한 통화정책,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 등 채권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때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이에 대한 영향으로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에 나온 실업률 지표 때문입니다. 비농업실업률이 좋게 나왔다는 것은 곧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뜻이되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강달러 기조에서 유지될 것이라는 것 때문에 채권금리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증시인데 채권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결과적으로 기업들의 사업을 위한 차입의 부담이 커진다는 뜻이되며 사업을 더 크게 확장하기가 부담스러워지며 중소기업들의 파산은 더욱 확대되기 때문에 증시에는 악영향이 됩니다.

    앞으로 실업률이 너무 큰 폭보다는 조금씩 늘어서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변하지 않으면 미국 경제 빨간불이 더욱 짙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대출 받아서 채권을 매입하면 이득이 되려면 우리나라 환율이 미래에도 높은 상황이여야 합니다

    • 그 이유는 대출을 받아서 달러를 매입하고 채권을 사고 다시 환매 할 때 예를들어 1300원초반에 와있으면

      10%의 환차손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이러한 상황까지 고려하여 앞으로도 환율이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매입해도 됩니다.

    • 지금 미국국채 금리가 높은 이유는 트럼프가 채권을 추가로 발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금리는 경기가 성장하는 경우,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올라갑니다.

    미국 경기 지표 호조/트럼프의 보편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미국 채권 금리가 오르고 있습니다.

    채권의 금리는 오르지만 금리가 계속 오르면 채권의 가격이 낮아지므로,

    지금 채권을 샀는데 금리가 더 오르면 중간에 채권을 거래할 때 산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팔아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요일 밤 12월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치 보다 훨씬 좋게 나오면서 1월 FOMC 에서 미국은 기준금리 동결확률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채 수익률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일단 올해 상반기 기준금리 인하가 어렵다는 인식이 강해졌고 1월말에 FOMC 결과가 어떻게 될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리고 채권은 금리가 상승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구조입니다 대출을 3프로대에 받으면 1프로 정도 남긴 하겠네요

    그럼 2025년도 하시는 일 다 잘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채권 금리가 오른다는 말은 경제가 불안정하다는 것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가 불안정하지않으면 금리는 내리게 되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채권 금리는 왜 이렇게 오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바로 미국의 기준 금리가 다시 오를 가능성

    즉,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노동시장이 긍정적인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여줬는데요. 결국 미국 경제에 좋은 소식이지만, 연준에서 그러면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채권 금리는 상승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