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언어능력은 좋은데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는 무엇을 해줘야 하나요?

아이가 말도 빨리 트이고 심지어 영어 관련해서도 좋아하고 다른 또래에 비해서 훨씬 유창하게 수준 높은 영어를 구사하기도 합니다. 한 번씩 깜짝깜짝 놀라는데요.

다만 다른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을 보면 걱정이 됩니다. 놀이터에서도 잘 어울리지 못하고 어린이집에서도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부모로써 제가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사회성발달'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성이 떨어지는 부분 때문에 걱정이 꽤 많으신거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봤을 땐 심각해보이거나 걱정할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혼자 지내는 아이들은 그 나이 또래에 의외로 많습니다.

    우선 아이의 자존감을 세워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무리 부모라도 아이의 속마음을 전혀 알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잘 드러내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런 아이들은 어떤 말을 하면 '엄마한테 혼이 날거야' 혹은 '말을 했는데 관심을 안가져주면 어쩌지?' 등의 걱정과 염려로 가득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존감이 부족하거나 의존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들은 친구 사귀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친구들 역시 자신감이 없는 아이에게 호감이 가지 않지요. 아이가 자존감을 갖고 의존적이지 않도록 평소에 칭찬과 격려를 아낌없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도록 하세요. 사소한 것이라도 아이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겁니다. 오늘 입을 옷을 고르고, 가지고 놀 장난감을 선택하고, 아이가 필요로하는 물건을 스스로 꺼내오게 하는 등 아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자신에 대한 믿음이 생기고 자존감이 높아집니다.

    세번째로, 친구를 만났을 때 자기 소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친구를 만났을 때 어떻게 말을 해야할지 모르는 아이 들이 많아요. 이럴 때는 말 거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사회성은 부모님이 도움을 줄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님이 하는 행동들을 보고 아이들이 보고 배운다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 동네 사람들과 인사를 잘하고 잘지내는 모습을 보여주신다면 아이들의 사회성도 계속해서 올라간다고 합니다. 밝고 긍정적인 모습을 계속해서 보여주시면 우리아이에게 아주 좋은 영향을 줄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회성이 부족하다면 사람들과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감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은데요.

    아이와 역할극을 하면서 사람들과 대화시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까지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언어능력은 뛰어나지만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를 도와주려면 아이들과 역활놀이를 할 수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어 주세요.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환경을 만들어주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아이가 혼자서 책읽거나 학원에서 일방적인 수업은 잘 따라가는 똑똑한 아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상호작용하는 경험이 부족해서 못하는 사회성이 떨어지게 보이는 상황일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과 집에서 대화하거나 식사자리에서도 역할놀이처럼 상황극을 만들어서 해보는 게임이나 놀이가 아이의 사회성에 모델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에를 들어 친구와 놀이를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때 어떻게 할 것인지 어머니가 친구가 되어 그 상황을 만들어 역활극을 하는 방식으로요.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언어 능력이나 지능이 또래 아이들에 비해 높을 경우 또래 아이들과 잘 못 어울릴 수 있습니다. 아이 입장에서는 언어적인 소통이 어려운 친구들이 이해가 안될 수 있고 친구 입장에서도 아이의 말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소통 능력의 차이에서 친구들과 어울리기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충분히 주지시켜 아이가 친구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먼저 배려할 수 있도록 교육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것은 너무 우리 아이만 배려하고 이해해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의사소통이 어려운 아이들의 경우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말로 좋게 얘기할 수 없어 폭력을 쓴다거나 울음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아이도 당황스럽고 억울할 수 있기에 상황을 잘 보고 아이의 입장을 변호해주시고 감정을 지켜주세요.

    예를 들어, 친구가 아이와 장난감으로 실랑이를 하다가 울어버리는 상황에서 아이를 나무랄 것이 아니라 아이를 통해 충분히 상황을 듣고 둘 다 조금씩 양보할 것을 교육 시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는 공감 능력이 부족해서 일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말을 최대한 들어주세요.

    상대방의 말을 들어주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배려심을 가르쳐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에서 보드 게임, 퍼즐 게임을 하면서 서로 간에 상호작용 하는 연습을 많이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려면 친구들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합니다~배려심을가질수있도록 집에서 아이와 대화해보시고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