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동료 축의금 나중에 줘도 될까요?
전 직책이 있고 팀원 들 중 한분이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식장에 안갈거긴한데 축의금 줄 돈도 없어가지구요..
나중에 여유생기면 줘도될까요
결혼식장에 안가신가면 축의금은 나중에 여유가 생겼을때 줘도 상관이
없습니다. 직장 팀원분들도 갈 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있을텐데요. 그런 경우 결혼식 참석하는 사람에게 축의금 같이
전달 해달라고 주는 경우가 많아요. 다른 사람에게 빌려서 주어도 되고 아니면 나중에 따로 연락해서 카카오페이로 5만원 송금하면서 결혼 축하한다고 전해주세요.
축의금이죠 내가 사정이 안좋아서 못줄형편이면 어쩔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친하다면 빌려서라도 줄수도있지만 그렇게 까지할필요가 있나 싶네요
미리 주는건 몰라도 나중에 주는건 좀 그렇습니다. 걸혼식 끝나고 신혼여행 갔다가 첫출근 하는날 주시면 몰라도 나중에 주면 그사람도 민망해 할겁니다. 조금 아렵더라도 잘생각 해서 하세요.
웬만하면 당일까지 3~5만원 정도만 주는게 좋을것 같아요.
정 안될거같으면 나중에 줘도 되냐고 사정을 말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으십니다.
잘 해결해보세요.
네 그래도 상관없습니다 머 축의금이란게 꼭 결혼식날에만 주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형편이 되지 않으면
시간이 조금지났을때라도 주면 친구는 고맙게 생각할꺼 같습니다
일단 모른척 하시다가 결혼식장도 못갔는데 깜빡했다.. 미안하다.. 하면서 봉투에 담아서 주면 당사자도 부담없이 받지 않을까 싶습니다
네 나중에라도 축하의의미를담아 전달하신다면상대방도 좋아할것같습니다 인사치레라고생각하시고 너무 연연해하지않으셔도될것같습니다
결혼전에 주면 좋겠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시면 나중에 신혼여행갔다가 회사 출근했을때 결혼식때 일이 있어서 못갔다구 축의금 받으라구 그때 줘도 될거같은데요?
사정을 말할 수 있는 사이라면 이야기를 했을때 사정을 이해 해주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당일에 내는 것이 좋겠지요. 불편해지지 않으려면 가까운 지인에게 잠깐 돈을 빌렸다가 갚는 편이 나아보입니다.
나중에 줘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돈이 없다면 당연히 못 주는 것이지요 마음이 가장 중요한 거 같고 미안하다면서 나중에 주면 좋아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