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김샐러
김샐러

부동산 투자 시기를 잘 모르겠어요 조언부탁드려요

벌써 직장생활 한지도 10년이 넘어가네요 처음에는 결혼 후에 집장만해야지 하며 전세로 살았는데 올라가는 집값과 함께 매매는 꿈도 못꿨네요~ 그리고 결혼도 했고 집 매매 생각도 있어 슬슬 알아보고있는데 가격이 많이 빠지지 않아 고민입니다. 지금 사도 될까? 조금 더 기다려볼까? 지금가격이면 대출을 해야하는데 이자부담도 있어 조금 더 모은뒤에 살까 하면서 시간만 가네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동산 구매시점을 정확히 판단할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말그대로 미래의 일이기 떄문에 예측만 할뿐이지 실제 그대로 될지는 알수 없습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 가격이 우상향하는 구조였기 떄문에 속된말로 어제 가격이 오늘의 최저가격이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부동산 불패신화 인식이 강하기 떄문에 영끌을 통한 구매가 답이라는 현상이 이어졌으나 최근과 같은 하락시기에서는 그만큼 결정을 망설이게 될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주택 구매의 판단을 자금계획에 따라 판단하는게 가장 좋을 곳으로 보이며, 질문과 같이 대출을 고려한 매수의 경우 최소한 실제 기준금리가 인하되는 시점까지는 기다리신뒤에 인하가 시작되는 시점에 구매를 진행하시는게 자금 운영 및 주택유지에 가장 안정적인 방법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현재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보면 최근 몇년간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보였으나 펜데믹 영향으로 상가의 경우 하락세를 계속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매매 및 전세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시세를 잘 파악하고 금리의 변동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매매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합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정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경제, 특히 부동산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최고점, 최저점 거래 내역에서도

    매수인은 더 오른다는 주관적 생각

    매도인은 이제 오르지 않는다는 주관적 생각으로 거래가 된 것 처럼요.

    결과적으로 매매를 희망한다면

    최우선으로 보셔야 하는건, 영끌을 하더라도 원리금이 감당 가능한 수준 내에서 하셔야 합니다.

    추가로 되도록 신축으로 매매를 권해드리며 교통[지하철], 초품아, 브랜드. 해당 3가지를 중점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중동전쟁이 일어나기전에는 전문가들이 26년도부터 집값이 오른다고 내다봤습니다

    중심지역은 지금도 공급이 부족하지만 금리나 여러거지 조건때문에 매매보다는 전월세를 찾다보니 그나마 내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사태가 벌어지고 나서 환율이 오르면 또 기준금리가 오를 수 밖에 없어서 사실 어찌 변할지 모르겠습니다

    현장에서 보면 재건축은 찾는분들이 있긴 있습니다

    급매물이 있으면 내년까지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