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호화로운가젤133
호화로운가젤133

청약 분양가가 주변시세보다 비싼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시세보다 싼게 분양가 아닌가요...? 왜 그런거죠? 어떤이유로 이런 이슈들이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어디서부터 찾아봐야할지 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분양아파트는 토지가+공사비 인데,

    토지는 19년도 이후 부동산 초고점에서 매수하고

    공사비는 현재 국제정세로 인해 원자재값 폭등으로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여기에 기존 주택들은 매수심리가 떨어져 가격이 하락했으니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해도 주변 시세보다 오히려 높게 분양가가 정해지는 겁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아마 분양가 상한제 적용 분양을 보시다가 분상제가 적용이 되지 않는 청약 건을 보신것 같습니다. 분양가 상한제란 일정한 지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분양할 때 일정한 기준으로 산정한 분양가격 이하로만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주택법 57조에 근거합니다. 분상제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사실상 무력화 되었습니다. 분양가상한제가 폐지된 이후로 전국적으로 분양가가 상승중입니다.

    분양가상한제는 분양가만 상한선를 두는 제도일 뿐, 분양 이후의 시세에 상한선을 두는 제도가 아니다. 단, 최장 10년 까지 전매 제한 기한을 설정해 이익실현을 제한하는 효과는 있다지만 대부분은 이 경우 거주요건만 채우고 전세로 돌리는 등의 갖가지 방법을 동원해서 이를 회피합니다. 일각에서는 분양가상한제로 주위 단지들의 가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주변 집값을 낮추는 효과는 없었고 오히려 상한제를 적용받은 단지들의 시세가 폭등했습니다.

    분상제 적용 아파트 당첨만 되면 수억 원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보니, 평소에는 별다른 생각없이 천천히 집을 마련할 생각을 한 사람도 '로또 아파트'라는 자극적인 문구에 이끌려 청약을 넣게되었습니다. 분양가상한제로 눌린 분양가는 그대로 '시세차익', '안전마진', '웃돈'이 얼마라는 식으로 불리우며 사실상 흔히 말하는 부동산 업계의 프리미엄(P)로 인식이 되버려서 오히려 청약을 통한 투기심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와 사실상 폐지되었습니다.

  • 2023년에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해제로 분양가격 제한이 해제된 아파트 분양가는 물가상승으로인한 원자재가격 및 인건비의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건설사들의 PF대출 이자 부담,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인한 실적 악화 등이 겹치며, 채산성이 악화된 건설사들이 손해를 만회하기 위해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사는 수주에 참여하지 않고 분양금액이 높은 공사만 선별 수주를 하고 있어 최근 분양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현재 부동산시장은 하락세입니다만 건축자재값, 인건비상승등으로 분양가가 더 비쌀경우도 있습니다. 미분양이 나면 할인분양을 하기도 합니다.

  • 예전에는 분양당첨만 되면 로또 됐다고 했는데 요즘에는 분양가가 워낙 비싸서 당첨이 된다해도 부담이가고 포기를 하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예전에는 분양가가 주변시세보다 많이 싸서 그나마 혜택이 많았는데 요즘은 새집만 가격이 오르다보니 분양가가 많이 올라갑니다

    금리,원자재값,인건비,공사비 안올라간것이 없으니 분양가가 비싸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주변아파트 시세보다 비싼 이유는 주변아파트는 구축이고 청약으로 입주할 아파트는 신축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자재값상승 등으로 분양가가 매우 오를 탓도 있습니다.

  • 예전에 부동산 경기가 좋을때는 분양하는 시점의 가격보다 주변의 가격 상승폭이 많았는데

    지금은 부동산 경기가 침체기라 기존 부동산 하락하고 분양가는 물가상승으로 인한 건설비용증가로

    오히려 청약가가 높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