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어슨 상관계수 분석은 신뢰성이 있는 분석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근 뉴스 분석에서
집값에 따른 계층별 투표 성향이 통계분석으로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의 각 자치구별 득표율은 아파트 가격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피어슨 상관계수 –0.96)를, 김문수 후보 득표율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상관계수 0.95)를 나타냈다고 하는데요..
즉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집값이 낮은 곳일수록 높아진다는 뜻이다.
이게 맞는 신뢰성이 있는 분석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란 -1 ~ +1 사이의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음의 상관관계 -> 한 쪽이 높아질수록 다른 쪽은 낮아지고 0에 가까우면 관련성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1은 완전한 양의 상관관계입니다. 즉 -0.96의 거의 직선 수준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입니다. 통계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수치지만 그 자체가 인과관계를 증명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진보성향의 후보를 좋아하는 쪽은 서민표가 많고 보수층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부자들이 많다는 말이 있습니다.
서울을 봐도 강남3구나 마용성등은 보수를 그렇치 않고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사람들은 진보 후보를 선택을 하였습니다. 진보의 경우 서민층을 대변하는 정책을 많이 공약을 하게 되고 보수의 경우는 부자감세나 법인세인하등 친 기업 정책을 펼치기 때문에 지지층이 서로 다른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는 기초 통계 분석 도구로 널리 사용된다고 합니다
분석 방법 자체는 수학적으로 매우 신뢰 가능하지만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상관관계가 강하더라도, 한 변수가 다른 변수의 원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 낮을수록 이재명 후보를 더 지지한다 라는 것은 집값이 낮아서 지지율이 올라간다고 보기는 어렵고, 실제로는 다른 요인들 (소득, 교육, 연령, 지역의 전통적 정치성향 등)이 매개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합니다
1명 평가집값에 따른 계층별 투표 성향이 통계분석으로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의 각 자치구별 득표율은 아파트 가격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피어슨 상관계수 –0.96)를, 김문수 후보 득표율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상관계수 0.95)를 나타냈다고 하는데요..
즉 이재명 후보 지지율은 집값이 낮은 곳일수록 높아진다는 뜻이다.
이게 맞는 신뢰성이 있는 분석인가요?
==> 피어슨상관관계 분석은 두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기법이고 집값과 진보, 보수관계 분석은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그러나 집값이 높은 곳일수록 보수성향이 가능하고 낮은 지역일수록 진보성향이 강한 면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어디에서 나온 분석인지는 몰라도 질문데이타만을 두고 본다면
집값과 이재명 후보 지지율 사이의 음의 상관관계는 무시하기는 어려운 결과로 보입니다
피어슨 상관계수 –0.96이라는 숫자는 거의 완벽에 가까운 음의 상관관계로 해석되며 우연이라고 보기 어려우며,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집값이 낮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는 수용할 수 있는 내용인것 같습니다
다만 상관관계는 인과관계가 아니라서 집값이 낮기 때문에 이재명 후보를 찍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집값이 낮은 지역은 대체로 무주택자나 서민층이 많고 이런 계층은 복지나 주거 정책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점이 민주당 계열 후보에 대한 선호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집값이 높은 지역은 자산 보유층이 많기 때문에 보수적인 경제정책을 지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과 집값 간에 상관계수가 0.95라는 것도 이런 구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분석의 신뢰성을 보려면 각 자치구별 공식 선거 결과와 아파트 평균 가격 데이터를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서울 25개 구나 전국 시군구 단위로 표본이 충분하고 분석 과정이 투명하게 진행됐다면 신뢰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분석은 상관관계 차원에서는 충분히 의미가 있고 계층별 정치 성향 차이를 설명하는 데에 다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