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과감한푸들293
과감한푸들29323.11.01

선택적 근로시간제 연장 휴일근로 수당 중복

안녕하세요.

선택적 근로시간제 실행중에 (정산단위 1달 기준) 연장, 야간, 휴일근로에 대한 수당 계산에 어려움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지금 현재 이해한 바로는 월 법정근로 시간, 소정 근로시간을 계산할 때 “40 시간 / 주 * (정산단위 기간내 일 수 /7)” 를 사용하여 계산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에 따라 정산기간 이후에 연장근로와 휴일근로가 겹쳐있을 때 중복이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어떠한 형태에 근로든 (일반, 휴일, 연장, 야간등), 정산기간내에 실근로시간이 법정근로 시간을 초과하면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의 예를들면,

법정근로시간 = 40*31/7 = 177.1 시간

유급휴일 = 0

공휴일 = 0

소정근로시간 = 177.1 시간

실근로시간 = 189.1 시간

야간근로 = 2 시간

휴일근로 = 8 시간

휴일 연장근로 = 2 시간

이러할 경우에,

(소정근로) 177.1 + (연장근로) 12*(1.5) + (야간근로) 2*(1.5) + (휴일근로) 8 * (1.5) + (휴일연장근로) 2 * (2) = 214.1 시간

위와 같은 계산식을 적용하면 연장근로와 휴일(휴일연장)근로가 중복되서 계산이 되는데, 이 계산식이 맞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계산방법이 틀렸을 경우, 선택적 근로시간제에 연장근로수당을 계산함에 있어 휴일근로는 (위 예시의 경우에는 10시간) 제외하고 연장근로를 계산해야 하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휴일근로 제외:

(소정근로) 177.1 + (연장근로) 2*(1.5) + (야간근로) 2*(1.5) + (휴일근로) 8 * (1.5) + (휴일연장근로) 2 * (2) = 199.1 시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