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단단한강아지169
단단한강아지169

5세에는 아직 글씨쓰는게 무리일까요?

저희 아이가 아직 글씨를 쓸줄을 몰라서요

ㄱ ㄴ ㄷ ㄹ 같은 ..

또래 아이들중 벌써 쓰기 시작한 아이들도 있던데..

그래서 좀 조급해져서 여쭤봅니다.

보통 몇 살쯤 ㄱ ㄴ ㄷ 등의 자음 모음을 쓰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5세나이에는 아직 연필을 잡는 손의 힘이 약하기 글씨를 쓰기보다는 연필잡기 연습을 통해 선긋기나 그림그리기등을 먼저 시켜주면 좋을듯 합니다. 또한 한글을 쓰기에 앞서 한글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하는것이 중요하며 처음 접할때는 게임같은 놀이식으로 접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직 나이가 어리니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책을 많이 읽어주면서 한글에 대한 호기심을 갖도록 유도하면 좋을듯 하며 아기가 쓰기에 관심을 가질수 있는 6세정도에 해도 좋습니다.

  • 한글 공부는 아이가 관심을 가질 때 시작하면 됩니다.

    그 때가 가장 적기라 할 수 있습니다.

    자음, 모음을 가르치는 시기 또한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학습지와 같은 평면 자료를 이용해서 학습하면 아이가 싫증을 낼 수도 있으니 놀이 식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번거롭겠지만 우선 집에 있는 사물 밑에 이름카드를 붙여줍니다.

    그림과 글자가 함께 있는 카드로 놀이를 하고 그림-글자를 분리해서 찾기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꾸준하게 책읽기를 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언어발달에 효과적입니다.

    길을 지날 때에도 주위에 보이는 간판, 현수막의 글자를 읽어보는 놀이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소근육이 어느정도 발달이 되어야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서 글씨 쓰기가 가능해집니다.

    가장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 중에 블록놀이가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작은 레고블록을 이용한 놀이는 좀 더 소근육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젓가락을 이용해서 콩 옮기기 놀이, 집게로 옮기기, 색종이접기, 가위질, 점토놀이, 색칠하기 등도 소근육발달에 도움이 된답니다.

  • 아직 소근육 발달이 안되서 글쓰기는 힘들거 같습니다.

    대신에 자음 모음 모양의 블록이나 스티커, 자석을 통해서 알려주는건 가능합니다.

    아이가 흥미를 보일때 천천히 알려주셔도 늦지 않을거 같아요.

  • 5세라면 쓰는것은 아직 힘들수도 있습니다

    소근육 발달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나

    5세시기에는 쓰기보다는 읽고 익숙하게 하면서 흥미를 가지도록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5살 이면 글씨 쓰기 연습을 시작해 주어야 합니다.

    선긋기, 색칠하기, 긁적거리기 반복학습을 통해서 아이가 글을 쓸 수 있도록 글쓰기 지도를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소근육의 힘을 길러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소근육의 힘을 글러주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했듯 선긋기, 색칠하기, 긁적거리기, 집게로 물건 옮기기, 젓가락질을 통해서 소근육의 힘을 길러주는 것도 좋습니다, 소근육의 힘이 어느 정도 있어야 글을 잘 쓸 수 있습니다.

  • 아이들의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5세 아이의 경우 글을 쓰는게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간단하게 자음정도는 쓸수 있겠으나 아직 단어를 쓰기에는 부담스러운 나이입니다.

    그림그리듯이 조금씩 가르쳐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6살부턴 유치원에서도 조금씩 배우는 것 같았습니다. 한글도 한글이지만 아직 소근육이 덜 발달 되어 연필을 쥐고 직선 곡선 긋기 연습을 해보는 것부터 시작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빠른 경우는 이미 잘 할 수있겠지만 학습은 길게 멀리 보시고 양보다 질, 속도보다는 지속성을 더 신경을 쓰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 한글자음모음쓰는시기

    1.아이인지능력학습 능력에따라다르나 빠르면4세 늦으면7세정도가능

    2.부모의자율성학습 양육에따라 아이의학업발달이나흥미가다름

    3.흥미가없을수록이시기는학습이늦고지연되고

    발달이 더딜수있음

    4.자율성 흥미유발학습법을사용하는게좋음

    참고바랍니다

  • 5살이면 본인 이름 정도는 쓰더라구요.

    빠른 아이들은 5살정도 하고 보통은 6살에 하는 것 같아요.

    아직 손힘이 약할 수 있으니

    미술, 만들기, 색종이 접기, 피아노 등 통해 손힘을 길러주는 것도 좋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보통 아이들이 처음 한글을 접하게 되는 연령대는 4살무렵 어린이집에 다니면서 시작이 됩니다. 이때에는 그림카드와 같이 한눈에 보고 무엇인지 알아보는 방식으로 한글에 접근을 하기 시작하는데요. 한글을 쓴다는 것에 앞서 듣기와 읽기 능력이 어느정도 되어야 쓰는것이 가능해집니다.

    한글에 대한 전체적인 학습은 아이의 발달상태와 언어 습득 능력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개 5살이 되면서 간단한 글을 쓰는게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점차 이러한 과정이 축적되게되면 맞춤법은 부정확하더라도 스스로 단어와 문장을 써보려는 시도를 하게 됩니다. 절대 조급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