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 계약하기 전 꼭 확인해야할 부분과 계약서에 꼭 들어가야할 특약이나 계약내용 상세하게 어떤것들이있나요?
월세로는 1천-2천 70만원이고 반전세로는 6-7천 50만원 생각 하고 있습니다 여태껏 전세로 불안불안하게 지냈는데 월세랑 반전세는 그나마 안전할 것 같아서요.. 그리고 반드시 다세대로 된 곳만 들어가려고하는데 계약서상 보증금을 보장 받을 수있는 내용과 들어가기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 들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리 특약에 유리한 내용을 적어두더라도 만기시 임대인이 자금이 없다면 보증금 반환은 어려울수 있습니다. 즉, 100%보장가능한 건 사실상 없습니다. 다만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전입신고, 확정일자, 보증보험을 가입하는게 최선일수 있고, 질문에서 월세,반전세의 부분보다는 주택가격 대비 전세가율이 안정적인 수준인 매물에 입주를 하시는게 방법일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반전세 계약을 고려하시는데, 계약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계약 당사자 확인:
계약하러 온 사람이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서의 소유주와 현장에 계약하러 나온 사람의 신분증을 대조해보세요. 주민등록번호와 얼굴을 확인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과 조건 확인:
계약 기간, 임대료, 보증금 등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합니다.
임대료와 보증금은 숫자와 한글로 표기하여 착오가 없도록 꼼꼼히 확인하세요.
다세대 주택 확인:
다세대 주택으로 제한하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다세대 주택인지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보증금 보장 내용:
보증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내용을 계약서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보증금 반환을 위한 내용증명서를 작성하여 보관하시면 유용합니다.
계약 해지 조건 확인:
계약이 종료되기 2개월 ~ 6개월 전에 임대인에게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보증금 반환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해지의사를 통보할 때는 임대인의 주민등록증을 확인하고, 내용증명서를 발송하세요.
전세보증보험 가입 고려: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여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가입 조건과 필요 서류를 확인하고, 보증금 반환을 위한 내용증명서를 작성하세요.
이러한 사항들을 꼼꼼히 확인하시면 안전하게 반전세 계약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