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친구관계에 얼마나 관여하는 것이 적절한가요?
부모의 입장에서 친구로 인하여 자녀가 안좋게 변할까봐 걱정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자녀 입장에서는 제대로 겪지 않고 왜 그러는지 이해가 안될텐데요. 그렇다면 자녀의 친구관계에 얼마나 관여하는 것이 적절한가요?
자녀의 친구 관계를 얼마나 관여하는 것이 적절한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자녀의 친구관계에 대한 부모의 걱정은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하지만 과도한 간섭은 오히려 자녀의 자율성과 신뢰를 해칠 수 있어요. 적절한 관여란 자녀가 친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대화를 통해 이해하려는 태도입니다. 자녀가 친구와 겪는 갈등이나 고민을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직접적인 판단이나 통제보다는 자녀가 스스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관계에 있어 부모님의 개입은
아이가 가는 길이 적절치 않을 때 즉, 옳은 길로 가지 않을 때
그 방향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이에게 매일 밥상머리 교육 시간을 통해서 어떠한 친구와 사귀는 것이 옳은지
그리고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친구와 소통을 해야 하는지 이에 대한 것들을 매일 꾸준히 알려주어
아이가 바른 마음, 바른 정신을 가지고 좋은 친구들고 좋은 만남을 가지면서 적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의 친구관계는 부모가 지켜보되 직접 개인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는 관찰자이자 조언자 역할을 하며, 자녀가 어떤 친구와 어울리는지, 관꼐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대화로 이해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명백히 위험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줄떄만 조심스럽게 개입하고 그 외에는 스스로 판단하고 경험할 기회를 주는 것이 사회성 발달에 더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부모는 자녀의 친구관계에 관찰자이자 조력자로 머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직접적인 개입보다는 자녀가 겪는 관계를 대화로 함께 해석해주는 역할이 중요합니다.
문제 행동이 명확하지 않다면 믿고 지켜보되, 가치 판단은 자녀 스스로 하게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자녀의 친구 관계에는 개입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아이가 너무 어리거나, 부모가 개입할 수밖에 없는 폭력 등의 사안이라면 모르겠지만, 그 이외의 경우라면 아이가 갈등을 경험하더라도 가능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게 좋아요. 즉, 가능한 관여하지 않되, 아이가 도움을 요청하거나 정말 아이가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맞는 도움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