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한국 내 수입차 시장 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가 한국 내의 수입차 시장의 시장 점유율과 관련하여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2025년 4월부터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산 수입차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하락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높이기 위해 앨라배마와 조지아 공장 가동을 확대하고 있으나, 여전히 한국에서 수입되는 모델이 많아 가격 경쟁력 저하가 우려됩니다. GM코리아의 경우, 수출 물량의 대부분이 미국향이어서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모델의 수출 중단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한국 내 미국산 수입차 가격이 상승해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브랜드의 수입차 판매량이 줄어들고, 독일이나 일본 등 다른 국가 브랜드의 차량으로 수요가 이동할 가능성이 큽니다. 소비자들은 동일 가격대에서 더 많은 옵션을 고려하게 되면서 전체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한국 자동차 기업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데 있어 불이익이 생기면 국내 생산 확대나 내수 강화 전략을 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 결과 수입차보다 국산차 선택 비중이 높아질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 브랜드가 한국 시장 내 입지를 다소 잃게 될 수 있습니다. 관세 정책이 직접적인 가격 경쟁력과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주는 만큼, 수입차 시장 점유율에도 실질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5년 4월부터 시행한 25%의 수입차 관세는 미국 내 자동차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는 한국 내 수입차 시장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내 자동차 가격 상승과 판매 감소로 인해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해외 시장에서의 수익 확대를 모색하게 되었고, 그 중 한국 시장은 주요 대상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한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포드는 멕시코에서 생산된 모델들의 가격을 최대 2,000달러 인상했지만, 동시에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는 직원 할인 가격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전략은 한국 시장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가격 할인, 금융 혜택,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드 뿐만 아니라 대표적으로 한국시장의 강자인 메르세데스, BMW 등도 공격적으로 프로모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내 수입차 시장의 경쟁 구도를 재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소비자들에게는 다양한 선택지가 제공되어 소비자 혜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국내 자동차 산업에는 경쟁 압력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외국산 자동차는 미국보다는 유럽의 제품들이 소비자의 선호도에서 더 앞서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상호관세 부과와는 별개로 우리나라의 미국산 자동차 수입이 엄청나게 늘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입니다.
다만, 협상결과의 내용에 따라 미국에서 수출하는 여러가지 물품들에 대한 수출을 우리나라에서 추가적으로 허용할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