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에서 예수금과 미수금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거래는 용어도 어렵고 공부할 것도 많더군요. 주식거래에서 예수금과 미수금은
어떻게 다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ㅎ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수금은 투자자가 증권 계좌에 입금해 놓은 현금으로, 주식 매수 시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자금을 의미합니다.미수금은 주식을 매수할 때 예수금이 부족한 상태에서 신용을 이용하여 구매한 금액으로, 일정 기간 내에 입금을 하지 않으면 반대매매(강제 청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즉, 예수금은 보유한 현금이고, 미수금은 부족한 금액을 일시적으로 빌려서 발생하는 부채 성격의 금액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수금은 투자자가 증권사 계좌에 입금한 현금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 투자 계좌에서 거래 가능 상태로 남아있는 현금입니다.
미수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한 후 결제하지 못한 금액입니다.
예수금은 내가 가진 현금(즉, 내돈) 이고 미수금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서 주식을 매수한 금액입니다.
내돈과 증권사 돈이라는 차이점이 있고 그래서 미수금은 현금을 넣던 주식을 팔던해서 갚아야 하는 돈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는 상장거래소의 중개사입니다 이에 주식거래하는 계좌를 위탁계좌라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 위탁계좌에 있는 현재 현금을 예수금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주식은 체결일과 결제일이 다릅니다
매수를 체결해도 당장 결제가 되지 않게 되고 이틀후 결제되는 금액 즉 나중에 이행되어야 할 금액을 미수금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수금은 증권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증권계좌에 미리 예치한 자금이고, 미수금은 증권사가 투자자로부터 아직 받지 못한 대금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거래에서 '예수금과 '미수금은 자주 혼동되는 개념입니다. 예수금은 투자자가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 계좌에 예치한 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식 매수나 출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입니다.
반면, 미수금은 투자자가 보유한 현금보다 더 많은 금액의 주식을 매수하여 발생하는 채무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증거금률이 20%인 주식을 100만 원어치 매수하려면 20만 원만 있으면 되지만, 나머지 80만 원은 2거래일(D+2) 이내에 계좌에 입금해야 합니다. 이 기간 내에 해당 금액을 채우지 않으면 미수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의 예수금과 미수금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수금이란 쉽게 말하자면 주식 거래를 위해서 투자자가
증권사에 넣어둔 금액을 의미하지만
미수금은 거래에서 발행한 미지불된 금액을 의미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