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나영파파
나영파파

전세가 좋을지, 월세가 좋을지?

일단 아파트를 이미 분양 받아 2년 후에 입주할 예정입니다.

당초 해당 지역에서 근무하다가 분양을 받고 다른 지역으로 발령 받아왔는데,

2년 이내에 다시 해당 지역으로 발령 받아 복귀할 예정입니다.

입주 시기보다 발령이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 해당 지역에 집을 구해야 할 것 같은데.......

아마 입주 시점보다 길면 14개월, 짧으면 6~7개월 전에 복귀하게 될 것 같은데요...

어중간한 시점이라 전세 구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기는 한데, 어쨌든 이런 경우 전세가 좋을까요? 월세가 좋을까요?

아니면 혹시 어떤 좋은 방법이 있는지 전문가 분들의 고견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태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기초하여 답변드립니다.

      임대차계약을 했는데 계약기간 다 채우지 못하고 언제 나갈지 불확실한 경우에는 전세보다는 보증금 투입이 적은 월세가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계약하실때 임대인에게 사정을 말씀드리고 퇴거 요청 시 임대인은 이에 응한다는 특약사항을 넣어주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퇴거일이 확실하지 않다면 2년으로 계약을 하시고 특약사항에 임대인은 이런경우 몇개월전 퇴거를 요청할 경우 이에 응한다라는 특약을 넣으세요.

      그리고 지금처럼 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시기에는 전세보다는 월세를 추천합니다. 보증금이 적기에 반환시 임대인, 임차인 모두 크게 불안하지 않거든요.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잠깐 집이 필요한거 같으니 전세 보다는 월세가 나을듯


      합니다. 괜히 전세로 했다가 이사 싯점에 전세금 회수에


      기간이 걸릴수도 있으니 월세가 더 나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 경우라면 전세보다는 월세가 유리할 수 있을듯 보입니다. 2년후 입주시 잔금지불도 하시기에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당장 큰 금액이 전세금을 묶어두실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그리고 계약시 계약기간에 대해 꼭 2년이 아닌 더 짧은 기간을 계약 하시기에는 월세를 구하시는게 더 유리해보입니더

    • 안녕하세요. 김재철 CFP/공인중개사 입니다.

      명확한 기간을 가진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 전세보다는 월세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월세도 공실이 없는 선호도가 높은 곳인지 미리 확인해보고 들어가실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