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전 골절 후유장해에 대해서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1년전 계단에서 넘어져서 미추골절 진단을 받았습니다.
할수있는건 물리치료나 그런것 밖에 없다고해서 통증이 있어도 잘 지내왔습니다.
얼마전 통증이 계속 있어서 병원에서 엑스레이 촬영해보니 1년전과 위치가 같다고 하더라고요.
이경우도 후유장해라고 할수 있나요?
운전직인데 통증이 계속 신경쓰이네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1년전 골절로인해서 치료를받고나서 지금 통증과불편감이있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여러가지문제가 있을수있으니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ㄴ디ㅏ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1년 전 골절 부위가 여전히 통증을 일으킨다면 후유장해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후유장해는 골절 후 회복이 불완전하거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안정됩니다. 운전직이라면 통증이 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후유장해 인정 여부를 전문의와 상담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단은 후유장해진단은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사고일 or 수술일 후 6개월이 지나서 여전히 문제가 지속 될때]
현재는 오랜시간이 지나서도 통증이 지속되어있기에 미추골절 당시 진단 받은 원장님께 정확하게 후유장해진단을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ㅎㅎ
이부분은 주치의가 아니어도 일반병원에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후유장해진단서를 발급받아서 보험사에 제출하시면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후유 장애일수도 있고, 아니면 제대로된 치료나 재활운동 및 치료가 덜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뼈가 골절이 발생하면 주위 근육으로 긴장도가 높아지고,그에 따라 본래 기능을 잘 못할 수 있습니다. 근데 단순 골절된 뼈부분만 붙은것만 확인하는것이 아닌, 고관절, 골반, 꼬리뼈의 움직임이 잘 나오는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이런식의 접근으로 해볼 수 있는 치료가 도수치료입니다. 대부분 골절 후 별도로 재활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더라고여, 그렇다면 한번 비수술 적 도수치료 접근해보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안타깝지만 통증만 가지고 후유장애라고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장애라는건 기능이 떨어져야하고 마비가 있다거나 관절가동범위가 떨어졌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후유장해를 우선 인정 받기 위해선 의사의 후유장해진단서가 필요하며 후유장해 등급에 따라 보상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선 미추 골절은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약물치료와 경과 관찰이 대부분입니다.
골절된 뼈에 의해 다른 신경을 손상시키는 경우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상태에 따라서 경과 관찰이 많습니다.
현재 운전직이시기에 아무래도 꼬리뼈의 자극은 계속 갈 것 같습니다.
틈틈이 차에 내리셔서 스트레칭과 꼬리뼈의 부담이 최대한 덜 가게 시트 조절과 쿠션을 깔아주는것도 좋을것같습니다.
골절의 회복을 위해선 충분한 휴식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도와주시고, 현재로써는 꾸준한 치료와 검사를 통해서 골절 상태를 파악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후유장해는 전문의에 소견이 필요하기에 한번 더 상담 해 보시길 바랍니다.
빠른 시일내에 쾌유와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