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찐찐이들맘
찐찐이들맘

아이들이 초등학생인데 밥을 먹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들이 초등학교 3학년과 1학년인데 밥 먹으라고 말을 해도 잘 안하니 집에서 먹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습관적으로 좋지 않은 것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초등학교 1, 3학년 아이들에게 밥을 먹여주는 것은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좋지 못한 것 같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 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교에서는 스스로 밥을 먹고

    집에서는 밥을 먹여주는 것은 일관적이지 학습 방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가능한한 아이 스스로 음식을 덜고 먹을 수 있도록 자립심과 책임감을 길러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이라고 한다면 직접 밥을 먹도록 해주셔야 되겟습니다. 이는 아이들을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것을 계속해주다가 보면 학교에서도 밥을 혼자서 먹지 않고 누군가가 먹여주도록 기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이들에게는 확실하게 교육을 해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스스로 밥을 먹는 시기의 연령인데요. 우선 아이들이 밥을 먹는 것에 흥미를 느끼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이 공복에 밥을 맛있게 먹도록 간식시간과 식사시간 간격을 넓혀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들이 밥을 안먹는 다고 해서 밥을 먹여주는 것은 좋지 않을 뿐더러 버릇만 나빠진다고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에게 밥을 먹으라고 말을 했는데도 말을 듣지 않을때는 아이들을 앉혀놓고 밥을 먹는 시간에는 함께 밥을 먹을수 있도록 식사예절이나 규칙에 대해 명확하게 이야기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능한 스스로 밥을 먹을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규칙적으로 식사시간을 정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을 골라 함께 준비하면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또 혼자 먹을 수 있도록 격려하고 스스로 밥을 다 먹었을 때 칭찬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이 스스로 밥을 먹지 않고 먹여주길 바란다면 자립심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 혼자 먹기 싫어하는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세요.피곤하거나 식사시간이 재미없다고 느껴서 그럴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들의 식사를 부모님께서 직접 챙겨주시는 것은 아이들의 자립심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스스로 먹는 법을 배우는 기회를 놓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정하고 지키도록 노력하세요. 정해진 시간에는 반드시 식탁에 앉아서 식사를 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미리 식단을 계획하고 재료를 준비해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메뉴를 준비해주세요.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나 반찬을 준비하면 식욕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채소나 과일 등 영양소가 풍부한 식품을 포함시켜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자신이 먹은 그릇을 스스로 치우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이는 아이들의 자립심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이들과 함께 식사하면서 대화를 나누세요. 식사 시간은 단순히 음식을 먹는 시간이 아니라 가족간의 소통과 유대감을 높이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이러한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다보면 아이들이 스스로 식사를 하게 되고, 자립심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아이들이 계속해서 식사를 거부한다면, 건강 상태나 심리 상태를 확인해보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습관적으로 아이들에게 밥을 먹여주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있습니다. 자율적으로 먹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 계속해서 부모가 먹여주면 아이들은 스스로 식사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밥을 먹도록 돕기 위해서는 먼저, 식사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간식을 식사 시간 전에 제한하여 배고픔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둘째, 식사 중에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TV나 장난감을 치워주세요. 셋째, 식사를 거부할 때 억지로 먹이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식사 시간을 마무리하고 다음 식사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점차 스스로 먹는 습관을 가질 수 있게 도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적절한 삭사예절을 가르키는것이 중요하며 이시기에는 스스로 밥을 먹게 하여야합니다

    아이가 먹지 않는다면 일정시간을 정하고 먹지 않을시 정리하는것이 좋으며

    아이에게 스스로 식사를 할수있도록 교육하는게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에게 밥을 먹여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작은 일부터 스스로 할 수 있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