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호프배달
호프배달

물가가 다시 오르고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원래 저번주까지만 해도 물가가 잡히는듯 해서 금리 인하 기대를 좀 해봐도 되겠다 했는데 다시 물가가 오르네요. 이번 물가 상승의 원인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최근 국내 물가상승 원인은 장마철로 인하여 농수산물 수급의 어려움을 겪게될 것으로 예상하며

      물가가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 물가 상승의 원인이 농수산물인 만큼 공급 이슈로 인한 상승이기에 공급 충격이 해결된다면

      다시 물가는 안정될 전망입니다 일시적인 물가 상승일 수 있습니다

    • 또 다른 이유는 중동 5차전쟁이 발발할 전망이기 때문에 유가가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소폭 높아진 것은 이미 시장에서 예상되고 있었는데, 유가 상승의 영향이 작용함과 동시에 장마로 인한 집중 호우와 같은 일시적 요인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다시 오르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다시 오르는 것은 현재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고

    그로 인한 석유가격이 오르기에 물가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반적인 물가는 안정세를 띄고 있으나, 석유류와 사과, 배 등 과일 가격은 상승 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폭우를 비롯한 기상 상황 영향으로 생육 주기가 짧은 채소류 가격이 전월보다 올랐으며, 유류세 인하 폭 축소와 더불어 국제유가 상승, 기저효과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물가가 다시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에너지 가격의 상승이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둘째, 지속되는 공급망 문제와 일부 지역의 기후 변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지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결국 물가가 오르는 원인은 어느정도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면서, 재화, 서비스의 교환수단인 돈의 양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른 결과라 볼 수 있습니다. 즉, 이에 따라 물가는 계속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물가가 다시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의 상승이 에너지 비용을 증가시켜 생산과 운송 비용을 높이고, 이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문제 또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이 여전히 불안정하고, 특히 반도체와 같은 핵심 부품의 공급 부족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물류비용 상승도 상품 가격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철강, 구리 등 주요 원자재의 가격 상승이 제조업체들의 생산 비용을 높여 최종 소비자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또한 물가 상승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기업들이 향후 물가 상승을 예상하여 가격 인상을 선제적으로 반영하면서 실제 물가 상승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통화 정책 측면에서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동성이 풍부하여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며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국 지수의 pbr 상태를 보면, 2024년 1월 30일 기준으로 코스닥 지수의 pbr은 1.50배로, 이는 코스닥 지수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pbr이 1배 이상이라는 것은 기업의 시가총액이 순자산가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최근의 물가 상승은 에너지 가격 상승, 공급망 문제,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통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1. 금리 인하 예상 정보가 풀리다보니 선제적으로 물가가 반응

    2. 기본 물가상승률은 현재 금리하에 유지되는데, 금리가 인하되니 소폭 상승

    두 가지로 볼 수 있어요.

    물가가 잡힐 기미가 보이지 않으니 금리를 계속 인상하며 버텼던 것이고, 이제 물가가 좀 안정되니 금리 인하한 것이구요.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물가 재상승분 역시 검토하며 보통 결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3(기준치, 2020년= 100)으로 전년동기 2.6% 올랐습니다. 정부의 유류세 인하 축소, 국제유가 상승으로 7월 석유류 가격이 21개월 만에 최고 상승했습니다. 휴가철 영향으로 개인서비스도 2.9% 올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