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사나운카리스마애벌레231
사나운카리스마애벌레231

아이가 밤에 자고 깨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8살 짜리 아이가 아직도 밤에 깨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란 행동을 없애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어떻게 하면 푹 잠을 잘 수 있을까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요즘 날씨가 습해서 아이가 깊은 수면에 들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잠자기 전에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고 일정한 시간에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의 방안온도와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를 시켜주고 아이의 잠자리가 불편하지 않은지 확인을 한번 하는 것이 좋으며 방안을 어둡게 해주시는 것이 아이의 숙면에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8세 아이가 밤에 자면서 깨어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요즘은 날씨가 더워서 아이들이 밤에 자면서 잘 깨기도 합니다. 여름이 접어들면서 깨는 습관이 생겼으면 더워서 그렇구요 덥지 않은데 깨는것은 성장기라 그렇수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장통이 온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자다가 잠을 깰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외에 다른 이유로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아이의 자는 패턴 및 자는 공간을 재정비 해주시는것도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씻고 잠을 자는 공간의 아늑함에 따라서 또 수면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내부 온도 및 빛이 들어오지 않게 하는등의 노력을 한번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수면 패턴을 잘 살펴보시고 수면전에 각성상태가 되거나, 격한 움직임의 횔동을 하지않게 해주실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낮에 신체활동을 더 충분히 할 수있게 하시구요. 그리고 수면환경도 쾌적하게 해주시는것도 도움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낮에는 아무 문제 없이 잘 놀았는데 밤만 되며 일어나는 것은 야경증 인 것 같습니다.

    야경증은 주로 4살 무렵 부터 7~8살 된 예민한 성격의 아이에게 잘 나타납니다.

    음식을 너무 많이 먹고 미처 소화시키지 못한 채 잠이 들거나, 정신적으로 흥분된 상태에서 잠든 것이 원인일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몸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로 잠자리에 들게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상태가 너무 심각한다면 병원 상담을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가 밤에 깨는 패턴이 자주 그랬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렇지 않고 가끔 그렇다고 하면 아이의 일상에 어떤 변화가 없는지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낮에 스트레스를 받은 상황에서 밤에 자면 아이들은 가끔 밤에 깨어서 울기도 하고 일어나는 현상이 있습니다. 그럴때는 원인을 찾아내서 마음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시도록 노력해보시고요. 자기직전 TV나 스마트폰 사용을 피하도록 해보십시요. 답변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생활 패턴을 잠시동안을 바꿔주시는 겁니다. 하루 날 잡아서 엄청나게 힘든 체육 활동하는 겁니다. 그리고 씻고 잠을 자게 되면 깨어나지 않고 푹 자게될텐데요. 이게 몆일간 정착되면 효과가 있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무래도 무엇인가 불안감이 있거나 에너지가 넘쳐서 그런거같네요 낮에 몸을 많이 쓰는 활동을 많이 하고 일정시간에 소등하여 자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