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Piyrteudgjw3232d
Piyrteudgjw3232d

안녕 하세요 지인의 손자가 태어나면 발가락이 6개를 달고 태어 나서 걱정을 하는데 수술이 가능 할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1

안녕하세요 지인의 손자가 태어 나면서 한쪽 발가락이 6개를 달고 태어나서 걱정을 많이 하는데 수술은 가능 하며 수술을 하게되면 언제쯤 해야 하나요?자세한 답변을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 발가락이 6개로 태어나는건 다지증이라고 하며, 흔한 선천성 기형중 하나입니다.

    걱정하실 정도는 아니며,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고 수술도 안전합니다.

    수술시기는 6~18개월 사이가 가장 적합하며, 이 시기에 해야지 걷기 시작하기 전으로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정상적인 발달에 지장이 없습니다.

    수술 후 대부분 애기들은 빠르게 회복하기 때문에, 재활운동도 같이 해주면 금방 좋아질겁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발가락이 6개인 경우 수술을 통해 불필요한 발가락을 제거하는것이 가능합니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에서 합니다

    수술이 필요한지는 발가락의 기능 위치 그리고 아기의 전반적인 겅강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추가적인 발가락이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거나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초래하는경우 수술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술은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가락의 발달을 관찰한 후 결정됩니다 보통 1세에서 3세사이에 수술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시기는 아기가 성장하면서 발가락의 기능과 위치를 평가하기에 적합합니다

    수술 시기는 아기의 건강상태와 발가락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송아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상담하는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다지증의경우 수술을통해서 제거하기도하기때문에 병원에서 진료를보시고 결정하시는게좋습니다

    수술시기는 그래도 어느정도 회복할수있는정도가 되어야하기때문에 너무 태어난지얼마되지않은애기라면 조금더 클때까지기다려야할수도있습니다

    일단 관절전문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와상담해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다지증의 경우 생후 6개월 이후에 수술 할 수 있게되고 보통 1~2세경에 수술하게됩니다

    손가락 뼈의유무에 따라 묶어놓는 것으로 수술을 대체하기도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한쪽 발가락에 여섯 개의 손가락이 달린 경우 다수지증으로 수술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1세에서 2세 사이에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의 조언을 통해 아기의 건강한 성장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정상갯수보다 많게 태어나는 것은 다지증이라고 하는데요,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증상으로, 보통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것이 대부분이지만, 성장이 다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미용적인 목적이나 기능상의 문제로 인해서 수술을 하는 경우가 있으니, 수술에 관해서는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시면서 상담을 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손자분이 다지증 즉 발가락이 6개로 태어난 경우는 생각보다 흔한 선천성 기형 중 하나이며 이는 수술로 충분히 교정이 가능합니다.

    다지증이란 손이나 발에 정상보다 많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있는 선천적 상태를 의미하며 보통 유전적 요인이나 드물게 다른 기형 증후군의 일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로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며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1세 전후로 시행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담당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